산업 산업일반

기업들, 직원 건강 직접 챙긴다

기업들, 직원 건강 직접 챙긴다 건강한 일터 만들기 '붐' '직원이 건강해야 회사도 강해진다' 웰빙 바람 확산과 맞물려 최근 들어 기업들 사이에 임직원 건강 챙기기 '열풍'이 불고 있다. 직원들의 건강이 나빠지면 생산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자칫 소중한 인재를 잃게될 수도 있는 만큼 '건강한 일터' 만들기 `붐'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는 것. 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 통신 부문(MC.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은 세달째 건강펀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건강 펀드'는 체성분.생화학 검사, 식습관 조사, 머리카락 미네랄 검사를 비롯,영양상담, 운동지도 등을 통해 건강 상태를 정밀진단, 관리해주는 프로그램으로 가입자들은 기본급에서 10만원을 공제하되 3개월간 목표로 잡은 건강 수치 도달에 성공하게 되면 이 금액을 돌려받게 된다. 현재 150여명이 참가하고 있다. 단 실패하면 공제액은 불우이웃 성금으로 쓰인다. 이와 함께 여의도 LG전자 본사는 '간호사 방문제'를 실시, 임직원들이 매달 한번씩 사내에 상주하는 간호사들의 방문 검진을 받도록 하고 있다. LG전자 창원공장은 금연펀드를 운영, 급여에서 20만원을 뗀 뒤 1년간 금연에 성공하면 여기에 20만원을 보태 40만원을 주고 실패하면 불우이웃 성급으로 활용하고있다. 공장내에는 펀드 가입직원들의 흡연 여부를 체크하는 '금연경찰팀'까지 생겼다. '삼진아웃제'가 적용돼 세번 적발되면 펀드에서 자동으로 탈퇴하게 된다. 또 창원공장은 매년 건강검진 때마다 간(肝) 질환자가 전체 질환자의 40%를 넘기자 매주 수요일을 '금주의 날'로 정했다. 평택에 있는 LG전자 디지털미디어 사업본부는 뱃살 체지방 1㎏을 빼면 금 1돈을주는 이색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 수원사업장 일부 부서는 흡연장 근처에 있거나 담배나 라이터를 가지고 있다 적발되거나 옷에서 담배 냄세가 나면 5천원의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금연서약서를 낸 사람들에게는 금연보조제 구입비용으로 40만원을 지원하고 1년간 껌과 캔디까지 챙겨주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 2001년부터 보건지원센터를 설립, 직원들이 근무중 무상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함께 포스코는 직원 건강도 전사적 경영혁신프로젝트의 일부분에 포함된다고 보고 전 사업장을 금연구역으로 선포하는가 하면 '술잔 안돌리기' 운동도 펼치고있다. 하나은행은 건강에 '이상 신호'가 온 직원들에게 알맞은 운동처방을 해주고 비용을 지원하는 '몸짱' 프로젝트를 가동하고 있다. 대상은 지난해 건강진단결과 혈압이나 콜레스테롤 수치, 혈당, 비만도 등 4개항목에 하나라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직원 317명으로 전체 직원의 5% 수준. 하나은행은 지난 달 12일부터 전국 영업점에 있는 이들 직원을 대상으로 운동처방을 위한 스포츠 과학센터의 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검사결과에 따라 회사 비용으로 건강이 좋아질때까지 무기한 운동처방을 받게 된다. 이밖에 팬택 계열은 5년 이상 근속 임직원 및 가족에게 각종 질병에 대한 치료비를 최대 3천만원까지 지원해주며 대한항공은 종합병원 수준의 의료 진단장비를 갖춘 자체 의료원을 운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 입장에서도 임직원의 건강과 기업 경쟁력을 별도로 떼놓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라며 "'직원 건강 챙기기'는 이제 직원 복지의 필수로 자리잡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입력시간 : 2005/05/06 06:3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