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서경이 만난 사람] 백덕현 코오롱인더스트리FnC 부문 사장

대담=채수종 생활산업부장(부국장대우) sjchae@sed.co.kr ‘스마트 소비’로 명품 시장 무너질 것 블루오션 중국 2년 내 선두권 진입 코오롱FnC 글로벌 M&A 나선다 상상버스로 직원들 창의력 키우는 ‘행복경영’ “지금까지 명품이라고 했던 것들이 다 무너질 수 있다.” 지난 20일 과천 코오롱 본사에서 만난 백덕현(사진) 코오롱인더스트리 FnC 부문 사장은 이 같은 말로 패션 업계 지도의 변화를 예고했다. 신규 유럽 브랜드들이 쏟아져 패션 산업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선택의 폭이 넓어진 소비자들이 지금까지의 맹목적인 구매 행태를 버리고 스마트 소비로 발전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는 곧 더욱 경쟁을 심화시킬 것이며 현명한 소비자들의 눈치를 보던 명품업계가 오히려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우지 않겠냐는 견해를 내놓았다. 그는 또 “더욱 중요한 것은 한국도 명품을 만들어야 한다”며 “신규 브랜드를 만들던 해외 기업을 M&A 하던 패션 본고장인 유럽 진출을 통해 글로벌 명품 브랜드로의 거듭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 사장은 “지난달 중순 10년 만에 패션 본고장 이탈리아에서 열린 세계적인 남성 패션 박람회 ‘삐띠워모’를 다녀왔다”며 “전세계 700여 개의 패션 관련 업체와 7만 명 이상의 패션업계 관계자들이 찾는 이 곳에 다녀온 후 느끼는 것이 많았다”고 소개했다. 그는 “2년 전에만 미리 나갔어도 지금 유럽에 부는 K-팝 열풍을 활용한다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되지는 않았을까 뒤늦은 후회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준비를 안 해서 기회를 못 잡았다”고 진솔한 고백을 하며“내년 상반기 중 유럽 전시회에 캠브리지멤버스와 커스텀맬로우 등 2개 남성 브랜드를 선보이며 본격적인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K-팝 유행이 그 때까지 지속된다면 이를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란 설명도 덧붙였다. 우선 올해는 중국 시장 공략을 본격화 한다. 국내 패션시장이 포화상태에 달한 반면 중국 시장은 블루오션이라는 판단에서다. 현재 38개 매장을 올해 말까지 50개로 확대하는 등 공격적인 유통망 확보를 시작으로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특히 아웃도어 브랜드 코오롱스포츠에 투자해 현재 베이징 북쪽 지역에 집중된 매장을 2년 내에 백화점 유통망을 중심으로 중국 전역으로 늘려 지금보다 10배 늘어난 50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그는 “중국 내에서도 아웃도어 열풍이 불고 있다”며 “우리 제품이 중국에 진출한 지 10~15년 된 노스페이스나 콜럼비아 보다 훨씬 고급스럽고 색감도 다양해 화려함을 추구하는 중국인들의 취향에 적합하다. 이들이 400개 정도의 매장을 갖고 있는데 품질과 가격 면에서 손색이 없는 코오롱스포츠가 매장 수만 충분히 확보한다면 성공이 담보된 게임이다”고 말했다. 이 같은 기세를 몰아 코오롱FnC는 적극적인 글로벌 M&A를 통한 글로벌 브랜드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국가적으로 경제 위기를 겪고 있는 이탈리아를 필두로 유럽 전역에서 브랜드와 품질은 우수하지만 재무상태가 불안한 작은 기업들이 타깃이다. 10~15년 후 막강한 브랜드력을 갖출 수 있는 장래 유명한 중국 브랜드 역시 물망에 올라 있다. “토종이나 외국 브랜드냐를 구분하기 보다 같이 경쟁해서 이기는 방법을 찾는 것이 현명하다. 루이비통, 제나 등에 비해 역사는 뒤지지만 감성과 같이 우리가 이길 수 있는 것을 찾아가면 머지 않아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다. 작은 기업들을 집어 삼켜 대어로 키울 생각이다. 외국 기업들이 보기에 우리 한국 기업들이 쉽게 할 수 있는 것도 지금까지 어렵게 하지 않았나 반성을 해 본다.” 지난해 패션 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린 코오롱FnC는 올해 매출이 지난해 보다 15~20% 가량 늘어난 1조3,000억~1조4,000억원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신사복의 고급화를 통해 지난해 인수한 캠브리지멤버스의 실적이 개선됐고 헤드의 베어풋 운동화가 대박을 쳤다. 커스텀맬로우의 매출 역시 매년 2~3배씩 늘고 있다. 과거 중년층에 어필했던 이미지를 벗기 위해 이민정, 이승기와 같은 젊고 핫 한 인기 탤런트를 모델로 기용하면서 코오롱의 이미지가 점차 젊어지고 있는 것도 그 이유다. 코오롱FnC 고속성장의 배경에는 역시 백 사장의 특출한 리더십이 자리한다. 조타수가 방향을 잡지 못하면 배가 산으로 가듯이 역시 성장하는 기업의 리더는 다르다. 백 사장은 ‘행복 경영’을 추구한다. 직원들이 즐겁게 일해야 개인도, 회사도 성장한다는 지론이다. 그는 과장 때부터 그런 말을 했다. 회사를 위해서가 아니라 개인을 위해서 일하는 것이라고. 직원들의 행복과 감성과 창조성을 높이기 위해 백 사장은 올 초 취임하자 마자 매주 화요일 오후 5시30분이면 ‘클린 타임’을 지정해 온 직원이 대청소를 하는 시간을 가졌다. 처음에는 반발이 심했던 직원들도 수장의 솔선수범에 감동했고, 환경 변화를 통해 업무 능력이 개선되는 것을 맛봤다. 독창성이 최상의 가치로 꼽히는 종합패션기업으로서 직원들의 창의력을 높이기 위해 한달에 한 차례‘상상버스’도 운영한다. 딱딱한 사무실에서 벗어나 서울의 ‘핫 플레이스’를 투어하며 머리를 비우고 새로운 감성으로 채울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코오롱FnC가 원하는 인재상은 ‘창조적 자기완결형’ 이다. 한 마디로 스스로 판단해 능동적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인재를 말한다. 백 사장은 “틀에 박힌 시각으로 보면 문제가 발생한다. 거꾸로, 다르게 볼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이 바로 창조성이며 책임을 가지고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 바로 자기완결성”이라고 말했다. 행복을 추구하는 경영 환경 속에 ‘창조적 자기완결형’ 직원들이 코오롱FnC의 미래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백 사장을 비롯한 1,000명의 코오롱FnC 가족들은 자신의 회사가 지속가능한 기업으로서 세계인의 사랑을 받을 것이라는 확신에 차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