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빈곤퇴치ㆍ환경보전 집중 논의

지구촌 최대 환경회의인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세계 정상회의(WSSDㆍ일명 지구정상회의)`가 2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개막됐다. 106개국의 국가원수, 행정수반 등 정상급 대표를 포함해 189개 유엔 회원국 및 국제기구, 비정부기구(NGO) 등 모두 6만5,000여명이 참가, 사상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이번 환경회의는 유엔 개회식과 함께 회의 공식 개막이 선언되면서 다음달 4일까지 열흘간의 일정에 들어갔다. 이번 회의의 최대 목표는 지난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지구정상회의에서 채택한 행동강령 `의제(Agenda) 21`의 성과를 평가하고 미래의 구체적인 실천목표와 전략을 채택하는 것. 빈곤퇴치(사회)와 소비ㆍ생산(경제), 자연자원보전(환경) 등 지속가능 발전의 3대 축을 이루는 분야별 현안이 모두 망라되며 향후 10~20년간 국제사회가 이뤄야 할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행동계획`과 정치적 실천의지를 담은 `정상회의 선언문`이 각 정부간 협상을 거쳐 채택될 예정이다. 특히 빈곤층 퇴치를 위한 공적개발원조(ODA) 증액, 세계연대기금 조성 등의 문제가 핵심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며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 기후협약인 교토의정서 발효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우선 26일부터 28일까지 각국 대표는 주제별 본회의에 참석, 분야별 토론을 갖는다.개회 첫날에는 보건,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에 대한 전체회의가 열렸으며 27일에는 농업, 금융ㆍ무역, 기술이전, 정보ㆍ교육ㆍ과학, 소비패턴에 관한 본회의가, 28일에는 수자원 및 위생, 에너지 등에 대한 회의가 개최된다. 회의는 31일과 9월1일 이틀간 휴회한 뒤 다음달 2일부터 4일까지 본격적인 정상회의에 들어간다. 4일 오후 정상급 대표들의 일반토의가 끝나면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 환경단체 등 주요 이해관계 그룹 대표자들이 참석하는 이해 당사자 포럼이 열리며 이어 참석자들은 회의 결론에 해당하는 정상회의 선언문을 채택한 뒤 회의를 마치게 된다. 한편 남아공 당국은 세계 각 지역에서 모여든 환경단체 및 반세계화 단체들이 이번 회의를 반대하는 시위를 할 것에 대비, 사실상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강력한 단속을 펴고 있다. 노희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