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형마트, 주유소 설치 '속앓이'

주유소 보다 싸게팔기 어렵고 주변상권 반발<br>정부정책 맞춰 검토 불구 실행방안 마련못해


대형 마트들이 주유소 설치 문제를 놓고 속앓이를 하고 있다. 유류가를 안정시키겠다는 정부의 강한 의지에 따라 대형 마트마다 주유소 설치 문제를 검토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기존 주유소보다 가격을 낮추기가 쉽지 않은데다 지역상권의 반발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대형 마트들은 정부의 정책추진 방침에 맞춰 주유소 사업 가능점포에 대한 점검에 들어갔지만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전국 111개 점포를 보유한 신세계 이마트는 최근 최고경영진의 지시로 이마트 내 주유소 설립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신세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자체 검토해 추진하는 사업이 아니라 유류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일단 어느 점포에 주유소 설치가 가능한지 검토해보도록 지시를 내렸다”며 “현재로서는 도시 외곽의 이마트에 주유소 설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홈플러스나 롯데마트도 주유소 설치 문제에 대해 내부적으로는 이견이 있지만 정부 정책에 부응한다는 방침 아래 신규 점포 오픈시 주유소 설립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대형 마트의 주유소 설립으로 수익을 낼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대형 마트 내부에서도 이견이 분분하다. 가장 큰 걸림돌은 휘발유ㆍ경유 등 석유제품 가격 문제로 대형 마트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의도대로) 일반 주유소보다 가격을 낮추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당장 수익을 내기보다는 서비스 확대 차원에서 추진돼야 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대형 마트가 석유제품 가격을 낮추기 어려운 것은 값을 낮출 만한 구매력을 갖기 어렵기 때문이다.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석유 제품 가격은 정유사의 원유도입 가격에 정제마진과 유통마진이 붙어 판매된다. 이 과정에서 정유사는 중간 유통과정인 대리점의 구매력에 따라 일정 수준의 디스카운트를 적용, 주유소별로 석유제품 가격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대형 마트가 주유소를 설립한다 해도 어느 정도 구매력을 갖추지 못하면 일반 주유소보다 가격을 낮추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대형 마트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롯데마트의 한 관계자는 “농협의 경우 이미 전국에 378개에 달하는 자체 주유소를 보유해 어느 정도의 구매력을 갖추고 있지만 대형 마트는 주유소를 설립한다 해도 규모에 한계가 있어 농협은 고사하고 정유사 대리점만큼의 구매력도 갖추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예상되는 지역상권의 만만치 않은 반발도 고민거리다. 가뜩이나 대형 마트의 상권 과점으로 지역 재래시장 상인들의 반발이 심한 상황에서 주유소까지 설치할 경우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되는 주변 주유소의 반발까지 더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홈플러스의 한 관계자는 “주유소 설치로 지역상권의 반발이 거셀 경우 지자체의 대형 마트 추가 입점요건이 더욱 까다로워지면서 점포확대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