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8월4일] 위스키 반란


1794년 8월4일, 워싱턴 대통령이 민병대 소집령을 내렸다. 목적은 펜실바니아 농민 반란군 진압. 정규군이 없어 민병대에 의존할 만큼 연방정부는 가난하고 힘도 없었다. 워싱턴은 각 주가 지원한 민병대 1만3,000명을 직접 이끌었다. 독립전쟁 당시 어떤 단위부대보다 더 큰 규모의 진압군은 농민반란군을 손쉽게 물리쳤다. 10월경에는 반군 세력이 완전히 소멸됐다. ‘위스키 반란’은 말 그대로 위스키로 인해 발생한 반란. 예산부족에 허덕이던 연방정부가 위스키에 대해 소비세 25%를 부과한 게 발단이다. 조세 저항이 따르자 재무부장관이던 해밀튼은 사치품에 대한 과세와 함께 지나친 음주로부터 미국인을 보호한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문제는 위스키가 사치품이 아니라 일종의 물품 화폐였다는 점. 특히 서부지역에서 농민들은 곡물을 수확하면 바로 증류했다. 술로 만드는 게 수송비를 아끼는 첩경이었기 때문이다. 대용화폐로 쓰이는 위스키에 대한 과세는 실질적으로 화폐와 상거래에 대한 과세였으니 불만이 컸을 수 밖에. 1791년 초부터 조세저항으로 시작돼 군사반란으로 막을 내리기 까지 3년 간 진행된 위스키 폭동은 교통인프라 확충이라는 뜻밖의 결과물을 낳았다. 대규모 병력의 이동에서 겪었던 불편이 수많은 유료도로와 운하를 탄생시켰다. 연방정부가 최소한의 힘을 가져야 한다는 공감대까지 확산됐다. 연방정부로서는 반란 덕분에 꿩 먹고 알 먹고 둥지까지 땐 셈이다. 타협보다는 무력에 의존하는 기질도 위스키 반란을 통해 더욱 굳어졌다. 전쟁을 경험할 때마다 국력이 일취월장한 미국은 유일한 초강대국의 지위에 오른 요즘에는 보다 호전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 국민들이 인질로 잡혀 있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의 작전설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 걱정스럽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