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개발수요 크게 늘어 오히려 기회될 수도"

[정부 입장]

정부의 입장은 업계의 우려와 정반대다. 동북아시대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중국의 동북3성에 대한 대규모 물류단지 추진설이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지만 계획대로 추진되더라도 우리의 동북아 구상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동북3성에 대한 개발이 활발해지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개발수요를 일으켜 개방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북한의 개방을 촉진해 우리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중국의 개발수요에 따른 자금과 시설투자에 있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가 더 크다는 얘기다. 특히 발전설비지역 및 종합공업시설 등을 개발할 경우 우리 기업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추진 중인 금융허브의 경우 일부에서 우려하는 것처럼 홍콩 같은 종합적인 금융허브 모델이 아니며 자산운용업을 특화시키고 구조조정 등 지역특화 금융수요를 개발한다는 것이므로 선양에 금융지대를 조성하는 데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면서 “다롄시에 물류허브가 완성되더라도 상하이와는 달리 우리보다 (물류처리) 능력이 떨어지므로 염려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다만 동북3성 경제가 좋아지지 않을 경우 자칫 투자과잉 현상이 발생해 현지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들이 피해를 볼 소지는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