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에이즈치료제 후보물질 기술 이전

화학硏 총 4,500억 로열티 수입 기대

한국화학연구원이 미국 대형 제약사에 거액을 받고 에이즈치료제 후보물질을 이전하는 개가를 올렸다. 상용화시 15년간 매년 300억원, 총 4,500억원가량의 기술료 수입이 기대된다. 화학연은 손종찬 박사팀이 지난 1998년 연구에 착수한 ‘비핵산 계열 역전사 효소 저해제’ 개발을 마치고 지난달 에이즈치료제 세계 1위 업체인 미국 길리어드와 1차 기술료 10억원을 포함해 85억원의 정액기술료와 2028년까지 로열티를 받는 조건으로 기술을 이전하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원이 개발한 것은 인체면역결핍 바이러스(HIV-1)의 증식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역전사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비핵산 계열 역전사 효소 저해제로 전임상 시험 결과 하루에 한 차례 소량의 경구투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역전사 효소란 에이즈 바이러스가 가진 특정 효소로 바이러스의 RNA 유전정보를 바이러스의 DNA 유전정보로 전환하는 핵심적 역할을 한다. 이는 바이러스의 증식에 필요한 과정으로 역전사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저해제를 투여하면 면역세포가 유지되고 에이즈 바이러스 증식이 억제돼 생존이 가능하다. 길리어드는 에이즈치료제 세계시장 점유율 1위 회사로 지난해 에이즈치료제에서 3조1,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길리어드는 올 하반기 미국 식품의약국(FDA) 임상을 신청할 계획으로 향후 5년 뒤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화학연은 “길리어드가 에이즈치료제 세계 1위의 사업화 능력과 세계시장 마케팅 능력으로 이번 기술이전의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며 “상용화가 순조로울 경우 2013년부터 2028년까지 약 15년간 매년 300억원의 기술료 수입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손 박사는 화학연 신약연구단 감염증치료제연구센터 소속으로 1987년부터 화학연에서 연구해왔다. 특히 에이즈치료제 개발 경력만 10년 이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