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하이쎌, 中 알리바바그룹 제휴협력사 인수로 면세점 환급사업 진출

하이쎌(066980)이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내국세를 환급해주는 사후면세점 세금환급(텍스리펀드: Tax Refund) 사업에 진출한다. 안정적이면서 성장성이 높은 면세점 관련 비제조 사업을 인수해 캐시카우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하이쎌은 17일 공시를 통해 국내 1위 텍스리펀드(Tax Refund) 기업인 ‘글로벌텍스프리’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하이쎌은 글로벌텍스프리 구주 141,900주(지분율 33.4%)를 인수해 최대주주에 올라선다. 하이쎌 관계자는 “특수관계인의 인수지분까지 포함해 인수규모는 총 154억원이며, 77%의 지분을 확보해 직접 경영에 나선다”고 설명했다.


글로벌텍스프리는 2005년에 설립되어 국내기업으로는 최초로 텍스리펀드 사업을 시작했으며, 신세계ㆍ현대ㆍ갤러리아 백화점 등 국내 주요 백화점과 롯데파주ㆍ신세계여주아울렛 등 대형 명품아울렛을 포함 약 3,600여개의 사후면세점을 가맹점으로 보유하고 있는 독보적인 국내 1위 기업이다.

텍스리펀드 사업은 외국인관광객에게 부과된 내국세인 부가가치세(VAT)와 개별소비세(ICT)를 돌려주는 환급대행사업으로, 투입되는 고정비가 적어 관광객이 늘수록 이익이 급증하는 구조다. 업계는 작년 900억원 수준이었던 환급부가세 시장규모가 2017년에는 2,840억원까지 급증해 연평균 32% 이상 고성장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은 2009년 780만명에서 2013년 1,190만명으로 4년 사이 52% 이상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환급세액 규모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관련기사



한류열풍으로 인해 중국인 관광객 수가 가파르게 증가함에 따라 2011년 매출액이 19억원 수준에 불과하던 글로벌텍스프리의 실적도 작년에는 매출액 75억원, 영업이익 25억원으로 급증한 데 이어, 올해 매출 역시 50% 이상의 고성장과 함께 100억원 대를 훌쩍 넘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글로벌텍스프리는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특화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인천공항을 포함 인천과 부산의 여객선 터미널에도 환급창구를 마련해 ‘관광큰손’인 중국인 관광객들의 접근성을 높였다. 또,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 알리바바그룹의 지불결제사 ‘알리페이’와의 사업제휴로 알리페이의 카드와 연동된 휴대전화번호만 있으면 번거로운 환급절차 없이도 자국에서 환급 받을 수 있는 전자환급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하이쎌은 기존 수익성 낮은 BLS(Back Light Sheet) 중심의 제조업을 인쇄전자, 다이렉트본딩 등 첨단기술 위주로 재편한 데 이어, 글로벌텍스프리 인수를 계기로 향후 사업포트폴리오를 성장성 높은 비제조 분야로 확대해 안정적인 캐시카우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번 인수로 하이쎌은 비제조 분야에서 안정된 고수익을 가져오고 글로벌텍스프리는 하이쎌의 자금력을 바탕으로 중국인 관광객을 겨냥한 마케팅 확대와 본격적인 아시아 시장 진출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하이쎌 관계자는 “정부주도의 관광객 유치 확대 전략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는 추세에 따라 텍스리펀드 사업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며, “특히 올해부터 시범사업으로 호텔 등 숙박업소로도 환급영역이 확대된 데 이어, 향후 의료관광 시장 등 다른 업종으로까지 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큰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 “이번 인수로 하이쎌의 실적개선에도 대단히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글로벌텍스프리와 국내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글로벌블루’는 전세계 1위 텍스리펀드 사업자로 43개국에 약 27만개의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스위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글로벌블루는 높은 성장성을 인정받아 2012년 미국계 사모펀드 실버레이크와 파트너스그룹에 10억유로(약1조4,600억원)에 피인수 되었는데, 매각 당시 매출액 6,240억원 영업이익 1,420억원 내외를 기록한 바 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