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中환율조작국 지정 안할듯

의회 보복법안 추진 등 압력 강화 전망으로<br>위안화는 이틀째 올라 "페그제 폐지후 최고"



美, 中환율조작국 지정 안할듯 의회 보복법안 추진 등 압력 강화 전망으로위안화는 이틀째 올라 "페그제 폐지후 최고" 강동호기자 eastern@sed.co.kr 조지 부시 미국 행정부가 13일(현지시간) 발표하는 반기 환율보고서에서 미 의회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월스트리트 저널(WSJ)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하지만 미 의원들이 중국 위안화 절상을 요구하는 입법안을 추진하는등 다각적인 압력을 가할 것으로 보여 위안화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빠른 속도로 절상되고 있다. WSJ 인터넷판은 그러나 정부의 미온적 태도에 실망한 의회는 중국에 대한 압력 수위를 더욱 높여 나갈 것으로 예상했다. 맥스 보커스 상원 재무위원장과 찰스 그래슬리, 찰스 슈머, 린지 그래이엄 등 상원의원 4명은 재무부의 환율보고서 발표 직후 중국에 대한 보복법안을 발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는 국제무역법에 저촉되지 않은 선에서 미국 기업이 중국과의 교역에서 생긴 불만을 세계무역기구(WTO) 등에 보다 쉽게 제소하도록 하는 등 대중 무역의 불공정 관행을 시정하겠다는 게 골자다. 또 미 의회는 위안화가 평가 절하된 만큼 이익을 얻는 중국산 상품의 미국내 수입에 대해서는 반덤핑관세나 상계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추진중이다. 이날 중국정부는 위안화 환율을 7.6282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지난 2005년 7월 위안화의 달러 페그제를 폐지한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날 위안화 기준환율은 전날에 비해 0.031 위안이 내려간 것으로 절상폭이 이틀 연속 0.4%에 달해 하루 변동폭 제한치가 0.5%에 육박했다. 위안화 환율은 최근 3일간 달러 강세의 영향으로 약세를 보이다 중국의 5월 무역수지 흑자폭이 사상 최대치에 근접하는 225억달러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면서 이틀연속 큰 폭으로 절상됐다. 중국의 5월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전년 동월 대비 73% 급증한 것으로 월간 기준으로 올 2월의 237억달러에 이어 사상 두번째 규모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분석가인 줄리안 제솝은 "미 행정부가 중국과 대립각을 세우지 않아 시장이 일단 안도하겠지만 미국내 보호주의자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로드리고 라토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오는 15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30년된 환율감시 시스템을 개혁하는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IMF 이사회가 지난 77년 채택한 '환율정책감시결정'이란 틀을 통해 국제 환율 문제에 개입해온 만큼 중국 위안화의 평가절상을 겨냥한 모종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점을 상기시켰다. 입력시간 : 2007/06/13 16:4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