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시론] 中國에 추월 당하지 않으려면


지금 한국 기업들은 저마다 미래 먹을거리를 준비하느라 마음이 급하다. 하지만 먹을거리를 기껏 찾아내도 '내 것'으로 만들어줄 고급인력을 우리나라에서는 아무리 구해도 찾을 수 없다고 안타까워하는 최고경영자(CEO)들이 적잖다. 미래 산업을 위한 인재육성에 과감하게 투자하는 중국을 부러워하는 CEO들도 있다. 중국은 미래 성장산업의 하나인 태양광산업에서 세계 1위며, 바이오 분야에서 세계 연구대행시장의 30%를 장악하고 있다. 이렇게 단기간에 따라잡기 힘든 첨단산업 분야에서 중국이 선진국과의 격차를 빠르게 축소하고 있는 데는 우수 인재의 힘이 크다. 이제 중국은 세계의 제조공장일 뿐 아니라 두뇌공장으로서도 손색이 없다. 양적으로 보면 중국의 과학기술 연구원 수는 세계의 5분의1을 차지한다. 미래 산업 고급인력 양성 시급 어떤 이들은 중국의 과학기술인력 규모에 비해 질은 아직 세계 수준과 거리가 멀다고 한다. 하지만 중국 인력의 질은 적어도 한국 입장에서 보면 충분히 위협적이다. 공학기술 분야만 따져도 중국의 세계 100위권 대학 수는 한국의 거의 다섯 배로 앞서 있으며 이들이 배출하는 인력의 잠재력도 대단하다. 정보통신 분야는 세계 10대 저널의 누적 논문 수가 세계 2위권이고 환경ㆍ에너지 분야는 3위권이며 이들 분야에서 세계적 기업도 나오고 있다. 이는 지난 20여년에 걸친 일관된 세계 일류대학 육성정책, 해외 우수인력 유치, 탄탄한 산관학 협력체제의 결과다. 최근 골드만삭스 보고서는 중국이 높은 연구개발(R&D) 투자와 우수한 과학기술 인재를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혁신의 지형도를 바꾸는 데 그치지 않고 글로벌 혁신의 허브로 도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이 이미 국제협력연구의 5대 중심국가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런 전망은 과히 틀린 이야기가 아니다. 반면 한국의 인재 경쟁력은 어떤가. 한마디로 풍요 속의 빈곤이다. 대학 졸업자는 넘쳐나지만 정작 미래 산업을 위해 준비된 고급인력은 그리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인재 배출 책임을 지고 있는 대학의 경쟁력은 세계 수준에 한참 못 미친다. 중국이 산업기술 측면에서는 아직 한국을 쫓아오고 있지만, 인재 경쟁력만 따지면 이미 한국을 추월하고 있다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 우려가 사실이라면 한국의 산업기술 경쟁력이 중국에 역전당하는 것은 시간 문제다. 한국은 이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인재 양성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범용형 인재 양산 정책으로는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우선 미래 먹을거리를 위해 경쟁력을 확보할 분야를 선정하고 이를 책임질 수 있는 우수 대학에 과감하게 투자하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현재 논의되는 대학 구조조정도 부실한 하위 대학의 수를 조정하는 데서 그치지 말고 미래 산업의 다양한 인재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대학의 역할을 재편하는 근본적인 구조조정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수요자 중심 인재정책 실시를 둘째, 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정부와 대학이 선제적으로 파악해 공급하는 '수요자 중심의 인재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주요 대학에 '산학인재위원회' 같은 것을 설치해 산업인재 수요를 상시 반영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기업도 인재 양성에 직접 개입하고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한다. 셋째, 기술 수준별 '인재 확보 포트폴리오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원천기술과 관련된 고급 두뇌는 국내에서 자체 양성하고 시급한 실용ㆍ응용기술은 해외 우수 인력을 적극 확보하는 등 다양한 인재양성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 과학기술인력이 풍부한 인도ㆍ중국 등의 인재육성 프로그램에 한국 기업이 적극 투자해 인재를 선점하는 방법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한국에 남은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