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편의점 빅3 "세컨드 폰 잡아라"

세븐일레븐 알뜰폰 이어 CU·GS25도 제품 선봬

CU, GS25,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빅3’가‘세컨드 폰’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을 뜨겁게 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세븐일레븐이 세컨드 폰 시장을 겨냥해 알뜰폰(MVNO)판매를 시작한 데 이어 이달 들어 CU와 GS25도 시장에 뛰어들었다.


CU는 심카드코리아와 29일부터 ‘리하트 폰’을 2만9,800원에 판매한다고 24일 밝혔다.

리하트 폰은 ‘재생폰’이라는 의미를 담아 붙인 이름이다. CU는 삼성·LG 등 국내 업체들의 중고 휴대전화를 고쳐 만든 제품을 판다.

기존 휴대전화에서 사용하던 유심칩을 끼워서 사용하거나 새로 유심을 꽂아 MVNO 통신망에 신규 가입을 해도 된다. 신규 개통은 전국 CU 매장에서 본인인증 과정을 거치면 된다.


CU는 리하트 폰을 우선 서울에서 1,500대 판매한 후 취급 점포를 넓혀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GS25도 24일부터 전국의 주요 매장 300여개점에서 알뜰폰을 점차 판매한다.

GS25의 알뜰폰은 시장에 있는 피쳐폰과 스마트폰을 활용해 MVNO서비스를 개통해 주는 방식이다.

단말기는 피쳐폰과 스마트폰을 합쳐 5종류이다. 가격은 3만5,000~7만원이다.

기본요금과 통화료가 저렴한데다 가입비와 약정은 없다. GS25에서 기기 가격만 결제하고 프리텔레콤 홈페이지(www.freet.co.kr)에서 개통할 수 있다.

지난해 편의점 중에서 가장 먼저 알뜰폰을 선보인 세븐일레븐은 스마트폰을 포함한 구형 휴대단말기를 내놓고 후발 업체에 맞대응하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스마트폰인 옵티머스시크(LG-LU3100)와 옵티머스마하(LG-LU3000)를 각각 7만원에 판다. 터치폰인 삼성 노리폰(SHW-A220L)도 3만5,000원에 내놨다. 상품별로 500~2,000대 한정해 준비했으며 서울 중구지역 20여개 점에서만 판매한다. 기계를 구입한 후 스페이스네트 홈페이지(http://www.freet.co.kr/)에서 가입신청을 하면 통화가 가능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스마트폰 보급이 대중화하면서 휴대전화기를 2~3대씩 사용하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면서 “편의점들이 앞다퉈 내놓는 저가 휴대전화기가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