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나노제품 안전성 평가 잣대 마련한다

2014년까지 100억 투입

인체에 흡입돼 폐질환 등 각종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나노제품의 안전성을 평가할 잣대가 마련된다. 지식경제부는 9개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90여명의 연구원이 참여해 나노제품의 잠재적 위험성을 평가할 측정 및 분석방법 개발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지경부는 오는 2014년까지 5년간 3단계에 걸쳐 100억원을 투입한다. 2011년까지 3년간 은나노ㆍ다중벽탄소나노튜브ㆍ이산화티타늄 소재 및 관련제품에 대한 '위해성 관리 플랫폼 기술'과 '성능향상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고 2013년까지 15개 수요기업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한 후 2014년 확립된 평가기술을 보급, 확산시킨다는 일정이다. 최근 나노물질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을 평가할 방법이 없는 상황에서 무분별하게 나노 브랜드 제품이 급증하면서 나노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떨어졌다. 또 나노기술의 안전성과 환경유해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경우 국내 기업의 나노제품 수출에 타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며 안전성 연구와 가이드라인 제시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8월 현재 나노제품 개발 건수가 114건으로 미국(426건)에 이어 두번째로 많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