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중일 바둑 영웅전] 우변의 백은 살아 있다

제10보(156~173)



치우쥔이 백56으로 단수쳤을 때 강동윤이 그곳을 외면하고 흑57로 둔 것이 실로 기민했다. 계속해서 백이 58로 전개했을 때 흑59로 응수를 물은 것이 고성능 컴퓨터처럼 정확했다. 흑57과 흑59는 강동윤의 천재성을 너무도 잘 보여주는 수순이었다. 흑57은 좌하귀 방면의 백대마 전체를 노리는 급소에 해당한다. 나중에 실제 상황으로 펼쳐지거니와 좌하귀 방면의 백대마는 아직 덜 살아 있다. 흑이 패로 붙들고 늘어지는 수단이 남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실전보의 흑59는 여러 개의 팻감을 예약하고 있다. 백60은 프로의 실전에 자주 등장하는 수비법이다. 이 수로 참고도1의 백1에 받는 것은 흑2로 침입하는 수가 남으므로 백이 꺼림칙하다. "그런데 우변의 백은 확실히 살아 있는 건가?"(필자) 흑61이 놓인 상태이므로 우변의 백대마는 사활이 아리송해 보인다. 강동윤이 흑63으로 치중했을 때 필자는 사고가 터진 줄만 알았다. 그러나 치우쥔은 태연히 백68로 받는 것이 아닌가. "패 아닌감?"(필자) "자세히 보세요. 패가 아니랍니다."(윤현석) 검토실 바둑판 위에 참고도2의 흑1 이하 백8을 놓아 보고서야 그 말을 이해할 수 있었다. 흑5의 응수가 절대인 것이다. 그 수를 두지 않으면 중앙 흑대마가 촉촉수로 잡힌다. 그리고 백이 8에 몰았을 때 흑이 1의 아랫자리에 둘 수는 없다. 규정상 착수금지에 해당한다는 사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