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출퇴근 대중교통정책 공회전

광역급행버스 노선 사업자 모집 실패 이어 정기이용권 버스도 3개월만에 운행 중단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편의를 돕기 위해 도입된 정부의 교통대책들이 곳곳에서 헛바퀴만 돌고 있다. 지난 2월 수도권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급행버스(M버스) 노선의 사업자 모집이 실패한 데 이어 이번에는 서울 정기이용권 버스가 시범운행 석 달 만에 운행을 중단했다.

서울시는 6일 그동안 은평(구파발역)→강남역, 강동(고덕역)→강남역 2개 노선에서 시범운행중 이던 정기이용권 버스의 운행을 이날부터 중단한다고 밝혔다.

출근 시간대에 지정좌석제로 운영되는 정기이용권 버스는 승객들이 편하게 앉아서 회사까지 갈 수 있다는 장점을 내세워 2월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도입 초기만 해도 2개 시범노선의 이용실태를 살펴본 뒤 4개 노선을 추가로 운영하는 등 사업을 확대한다는 게 시의 방침이었다. 그러나 2월 한 달간 운행한 결과 이용객이 정원(40명)의 4분의1 수준에 그쳤고 3월부터 이용요금을 월 6만원에서 2만원으로 대폭 낮춘 뒤에도 노선별 승객이 18~19명으로 정원의 절반을 채우지 못해 결국 운행이 중단됐다. 다른 대중교통 수단과 환승 할인이 안 되고 하루 한 번 정해진 시간에만 출발한다는 단점이 이용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정기이용권 버스 2개 노선은 시범운행 기간 중 모두 750만원이 투입됐지만 160만원만 거둬들여 590만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매일 9만8,000원씩 손해를 봤다. 서울시 관계자는 "적자 누적이 심해 시범운행을 중단했고 추가 운행을 계획했던 4개 노선에 대한 추진 작업도 멈췄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2개 시범노선에 대한 면허가 2015년 1월 말까지 유효하기 때문에 시민들이 원하거나 사업자가 나타날 경우 언제든지 운행을 재개할 수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지만 이번 시범운행 결과만 놓고 볼 때 그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시각이다.

서울 정기이용권 버스 운행 중단은 출퇴근 교통난 완화 대책을 마련 중인 국토부에도 고민거리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달 4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업무보고에서 정기이용권 버스노선 확대와 광역급행버스 노선 확대 등을 통해 교통난을 완화시키겠다고 밝혔기 때문.

그러나 2월 광역급행버스 7개 노선에 대한 사업자 모집 결과 운송업체들이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 노선 입찰 참여를 꺼리면서 인천(송도)→신촌 등 4개 노선의 사업자를 아직 찾지 못했고 서울 정기이용권 버스마저 흐지부지됐다. 정부가 야심 차게 추진했던 출퇴근 교통대책에 잇달아 제동이 걸린 것이다.

한 운송업계 관계자는 "무리한 정책 목표를 세우고 억지로 추진하다 보면 시민들은 혼란스럽고 업계도 피해를 본다"며 "보다 현실성 있는 대중교통 대책 마련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