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월요 초대석] 농지은행은 무엇인가

농촌 투자활성화·영농 지원등 목적<br>시행 한달 농지임대·위탁문의 급증

농업기반공사가 운영하는 농지은행이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고 있다. 농지은행은 건전 자본의 농촌 유치와 농가의 영농 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10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도. 1개월여 밖에 되지 않았지만 농지임대 위탁 문의가 급증하는 등 성공적 안착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게 공사의 설명이다. 농지은행의 주요 기능은 ▦농지 임대ㆍ수탁 ▦부채농가 경영회생 지원 ▦농지 매입ㆍ비축 등이다. 이 중 농지 임대ㆍ수탁은 땅과 농사를 짓는 농민을 연결해 주는 것. 도시민의 경우 농지은행에 수탁을 맡기면 주소 이전 등 각종 제약을 받지 않고 농지를 매입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11월 7일까지 농지은행에 의뢰된 임대ㆍ수탁 건수는 총 118건, 17만2,000평에 이르고 있다. 농지은행 역할 중 임대ㆍ수탁과 더불어 관심을 끄는 것은 부채농가 경영회생 지원. 내년부터 본격 운용될 이 프로그램은 부채에 시달리는 농가들에게 빚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으로 보인다. 은행이 농지 등을 매입해 부채를 청산토록 한 후 본인의 농지에서 계속 농사를 지어 나중에 환매권을 주도록 돼 있어 부채농가의 희망으로 부상하고 있다. 매입ㆍ비축은 소규모 농지를 사들여 대규모 경영체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안 사장은 “농지은행은 현 우리 농촌이 안고 있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라”며 “이를 빠른 시일 안에 제대로 정착시키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