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책과 세상] 기술 진보 관점서 미국 역사 서술

■ 미국 기술의 사회사 (루스 슈워츠 코완 지음, 궁리 펴냄)


기술이라는 잣대로 미국역사를 서술한 책이다. 북미 대륙에 유럽인들이 정착하기 시작한 17세기부터 20세기말까지 미국기술의 흐름과 그로 인한 사회변화를 그려내고 있다.


저자의 관점은 인간의 복잡한 삶과 역사 그 자체를 '기술사(史)'로 읽을 수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이를위해 식민지 미국, 산업화 시대, 20세기 등 미국의 역사를 총 3부로 나눠 아메리카 원주민이 사용한 도구에서부터 자동차, 컴퓨터, 항공기, 항생제, 피임약, 포드주의와 테일러주의 등 미국이 발명하고 발전시켰던 미국기술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산업현장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산업화가 노동자와 주부에게 미친 영향 등 광범한 주제와 사례를 다룬다.

관련기사



저자는 특히 1870년부터 1920년 사이에 나와 미국 산업사회를 뒷받침한 5개의 기술시스템,즉 전신, 철도, 석유, 전화, 전기에 주목한다. 전선을 따라 먼 거리에 메시지를 보내는 진신장치는 미국의 정치와 경제,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신은 멀리서 일어난 중요한 사건을 빠르게 전송했고, 멀리 떨어져 사는 가족에게 출생, 사망과 같은 중요한 소식들 전달했다. 미국에서 철도는 서로 떨어진 지역들, 다양한 기업들, 그리고 수백만의 사람들을 연결해준 또 하나의 시스템이었다. 전화의 발명은 전신과 유사했지만 사회적인 의미는 또 달랐다. 전신은 도트와 대시의 배열을 해석해줄 전신기사라는 중개인이 필요했지만 음성통신인 전화는 중개인없이 서로의 목소리를 들으며 감정까지도 교류할 수 있었다.

이런 기술시스템들을 등에 업고 진행된 당시 미국 산업화과정은 부의 중심과 정치권력을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하게 만들었다. 또 사람들은 '자연에 덜 의존'하게 되는 대신 '서로에게 더 많이 의존'하게 했다. 미국민들이 거대하고 복잡한 물리적ㆍ사회적 네트워크 속으로 모두 연결되었고 결국 그 때문에서 자연이 아닌 서로에게 더욱 더 의존하는 구조가 심화된 셈이다. 기술이 물질적 성격과 사회적 성격을 동시에 갖는 대표적인 사례다.

저자는 건국 직후 숙련노동자가 매우 귀했기 때문에 비숙련노동자도 쉽게 만질 수 있는 기계를 만들어내려는 경향이 강했고, 결국 이런 분위기가 기계화와 산업화를 촉진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이 책은 기술의 진보가 사람들이 일하고 이동하며, 의사소통하고 재생산하는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쳐왔는지 설명하는 기술의 사회사(史)다. 이 과정에서 미국의 사회사와 경제사를 엿볼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보인다. 2만8,000원.

정승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