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뿌리 깊은 재송신료 갈등… 이번엔 접점 찾을까

지상파, 가입자당 400원 인상 요구

케이블업계 "과도하다" 강한 반발

계약 만료 앞둔 5곳 공동협상 전략

방통위 "해결 위해 직권조정도 고려"


2008년 이후 매년 쳇바퀴를 도는 지상파와 케이블TV의 재송신료 문제가 또다시 불거졌다. 올해는 케이블TV 업계가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했고, 방송통신위원회가 문제 해결을 위해 개입하겠다고 밝혀 꽉 막힌 협상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다.


11일 케이블TV 업계에 따르면 올 연말 지상파와 재송신료 계약이 만료되는 티브로드와 CMB는 물론 CJ헬로비전과 현대HCN, 씨앤앰 등 5개 복수유선방송사업자(MSO)가 재송신료 협상에 공동대응하기로 입장을 정하고 지난주 MBC 측에 협상을 제안했다. MSO들은 지난해까지 재송신료 협상을 위해 공동으로 협의를 했지만 계약은 사별로 맺었다. 그러나 올해는 공동협상, 공동계약을 통해 협상력을 높이는 전략을 택했다.

관련기사



그렇지만 올해 협상도 난항이 예상된다. 지상파가 재송신료 인상안을 들고 나왔기 때문이다. 올해 열린 월드컵과 아시안게임으로 인해 지상파들의 '적자'가 커져 280원이었던 가입자당 재송신료를 400원으로 올려줄 것을 요구했다. KBS는 상반기 순손실 363억원 중 180억원이 월드컵 중계로 인한 손실이다. MBC도 월드컵 중계권료로 270억원을 지불했지만 광고 매출은 165억원에 그쳤다. 케이블업계는 강하게 반발한다. 재송신료 인상분에 대한 이유가 불명확하고, 재송신료 수익이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매년 반복되는 재송신료 갈등문제를 방통위가 직권조정을 통해 풀겠다는 입장을 밝혀 양측이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다. 최성준 방통위원장은 지난달 열린 국정감사에서 "방통위가 문제 해결을 위해 개입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양측 모두 조정신청을 안 하고 있어 방통위가 직접 직권조정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