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추가 성장 통해 양극화 해소를"

■ 김근태 우리당 의장, 관훈클럽 토론<br>양도세 완화 고려하지만 '8·31' 일관성 유지<br>"뉴딜은 번영으로 가는 KTX" 중요성 역설


김근태(사진) 열린우리당 의장은 12일 “참여정부의 경제정책이 보완돼야 한다”며 “추가 성장을 통해 양극화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장은 이날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여당이 추진하고 있는 ‘뉴딜’(New Deal)과 사회대타협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김 의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생존 공포로부터의 탈출구 마련 ▦새로운 성장방식 창조 ▦사회 작동 패러다임 변환 등 세가지를 ‘뉴딜’의 추진 이유로 들고 “열린우리당이 집권할 능력과 비전을 갖춘 세력이라는 것을 국민으로부터 확인 받을 것”이라며 의욕을 보였다. 김 의장은 ‘뉴딜’을 ‘번영으로 가는 KTX’에 비유, 상당 시간을 들여 취지와 필요성을 역설했지만 패널들의 질의는 전효숙 헌재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 당ㆍ청 관계, 한ㆍ미 FTA체결에 대한 당내 갈등 등 현안에 집중됐다. 김 의장은 부동산 양도세 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양도세도 보유세이기 때문에 부과 면탈될 수는 없다”며 “중산층ㆍ서민 일부 고통을 알고 정책적 고려 대상에서 제외시키진 않지만 8ㆍ31정책의 일관성 유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장은 또 ‘뉴딜’이 재벌개혁 후퇴, 신(新)정경유착이라는 시민단체의 비판에 대해서는 “재벌체제는 경제의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됐다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며 “투명성 강화가 필요하지만 감당할 수 있는 범위와 속도로 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뉴딜’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과 엇박자를 빚은 것과 관련, 김 의장은 “부부나 형제 관계는 아니지만 동지적 관계”라며 “역할은 다를 수 있어도 논쟁할 것은 논쟁 해 결단을 내려 창의적인 발상이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나라당의 사학법 재개정 요구에 대해서는 “개방형 이사제를 제외한 모든 문제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사학의)경쟁력을 어떻게 제고할지 논리로 말해야지 이데올로기적 주장은 책임 있는 야당의 자세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권주자로서 지지율이 낮아 ‘킹메이커’로 역할 전환을 해야 한다는 얘기가 있다는 패널의 질의에 “한나라당과 당 지지율은 3배 넘게 차이 나지만 의장 직무수행도는 33%로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와 비슷하다”며 비켜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