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택업체 「효자」서 「계륵」 전락/재건축사업 기피 “확산”

◎선투자비 늘고 사업성 나빠져/시공만 맡는 도급제 수주 선호한때 주택업체들에 「효자」 노릇을 했던 재건축 사업이 「계륵」이 되고 있다. 주택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상당수 업체들이 재건축 사업 수주를 기피하고 있으며 일부 업체들은 신규 재건축사업 수주를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서울시가 내년부터 아파트의 용적률을 3백%로 제한하는 등 건축에 따른 규제도 강화, 업체들의 사업여건이 더욱 나빠져 앞으로 재건축 사업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5건의 재건축 사업을 추진중인 D사의 경우 지난 95년 이후 단 한건의 신규수주도 하고 있지 않은 상태다. 수익성 악화로 내부적으로 신규수주를 중단한다는 방침을 세웠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현재 추진중인 5건의 재건축도 사업의 장기화로 수익성이 없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S사도 올들어 단 1건의 재건축 사업을 수주하지 않았으며 기존에 수주했던 5건에 대해서만 사업을 추진중이다. D사 관계자는 『재건축은 조합원간 갈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면 땅값은 올라가는 반면 건축비는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사업성이 거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업체들이 재건축사업을 기피하는 또하나의 이유는 선투자비가 많다는 점. 강남지역의 경우 가구당 1억원이 넘는 이주비를 선지급해야 하지만 최근 업체들의 자금사정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선뜻 재건축사업을 수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H사 관계자는 『업체들이 과거 수주 과정에서 경쟁적으로 이주비를 높인 것도 재건축사업 채산성 악화를 부추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재건축사업의 수주양상도 바뀌고 있다. 과거에는 대부분 업체들이 조합원과 업체가 사업을 공동시행하는 지분제 수주를 선호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업체가 시공만 맡는 도급제 수주로 변하고 있다. 지분제의 경우 용적률 강화로 업체의 지분율이 감소, 사업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주택협회 관계자는 『최근 주택업체들은 사업물량 확보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재건축 사업을 하는 실정』이라며 『수도권에 신규택지 공급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업체들의 경영수지는 악화일로를 걸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정두환>

관련기사



정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