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해외건설 강국 한국, 중국에 덜미

기술 축적으로 '해외건설시장 개척' 필요'해외건설 강국'이었던 한국이 후발국 중국에게 시장을 급속히 빼앗기고 있다. 전문가들은 건설업체들이 국내 주택 건설에 치중하며 분양가 인상을 통한 이익챙기기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기술축적에 힘써 고부가 해외건설시장 개척에 적극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 중국, 한국 따라잡은지 오래 29일 세계적인 건설잡지인 ENR(Engineering News Record) 최신호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225대 해외건설기업에 한국은 현대건설,SK건설, 대우건설, 쌍용건설 등 7개업체가 올라 총 31억5천만달러의 해외건설 매출을 기록했다. 이에비해 중국 기업은 무려 40개가 진입, 우리나라의 배에 가까운 59억5천만달러의 해외건설 매출을 올렸다. 이에 따라 세계 건설시장에서 중국의 위상은 7위에 자리매김한 반면 한국은 10위에 그쳤다. '해외건설 강국'을 자랑하던 한국이 중국에 추월당한 것은 지난 98년부터. 96년 64억달러의 해외건설부문 매출을 올려 중국(41억달러)을 크게 앞질렀던 한국은 98년에는 47억달러 매출에 그쳐 50억달러의 중국에 역전당하고 말았다. 그뒤 중국은 99년 61억달러, 2000년 54억달러, 지난해 59억달러로 급성장세를보인 반면 한국은 99년 28억달러, 2000년 36억달러, 지난해 31억달러로 지지부진을면치못하고 있다. ◆ 문제는 '기술력' 한국이 중국에게 해외건설시장을 뺏긴 주요 이유는 경제위기 이후 국내 건설업체들의 국제신용도가 떨어져 대형 수주에 필요한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제대로 못했기 때문이라고 건설업계는 자체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금융시장에서 중국 건설업체의 신용도도 그리 높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진짜 문제는 국내 건설산업이 처한 '구조적인 취약점'에 있다고 전문가들은분석했다. 가격경쟁력에서는 중국의 값싼 임금과 경쟁이 되지 않는 반면 기초기술력은 선진업체에 미치지 못하는 산업 전반의 '샌드위치형 위기'가 건설업에서도 고스란히재현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더해 중국은 기술력에서도 우리를 맹추격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건설산업연구원이 27개 해외건설업체 실무진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토목시공 기술력에서 '중국과 우리나라가 대등하다'는 답변이 54%를 차지했으며 '중국이 우리나라보다 우세하다'는 답변도 36%나 나왔다. 더구나 2010년까지 추진되는 거대한 서부대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중국 건설업체들이 댐, 교량, 화력발전소 등의 시공 경험과 기술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도 상당한 위협요인으로 지적된다. 산업연구원의 박광순 연구원은 "국내 건설업체가 중국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기초설계능력과 종합엔지니어링 역량을 하루빨리 선진업체 수준으로 끌어올리는길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안승섭기자 [TODAYTOPIC]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