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카드결제 메시지, 공짜면 뭐하나

금융당국은 11일 개인정보 유출 재발방지를 위해 카드결제 문자알림을 무료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5만원 이상 물건을 사거나 현금서비스를 받으면 모든 카드사가 무료로 고객 휴대폰에 문자로 알려준다는 것이다. 이미 빠져나간 정보를 이용해 누군가 내 돈을 빼가거나 결제를 시도한다면 곧바로 알려 결제를 취소하자는 취지다.


이 서비스는 무료냐 유료냐의 차이만 있을 뿐 대부분의 카드사가 이미 시행하고 있다. 그런데 1억580만건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카드사가 사죄의 의미로 1월 말부터 이를 무료로 전환하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금융당국은 나머지 카드사도 무료로 전환하도록 촉구했고 카드사들은 비용부담이 크다며 실랑이를 벌였다. 논란 끝에 이르면 5월부터 5만원 이상부터는 무료로 알려준다는 결론을 내렸다.

관련기사



그러나 금융당국과 카드사가 공방을 벌이는 사이 놓친 사실이 있다. 문자 통보가 누락되는 현실이다. 카드사에서 문자를 보내도 통신사의 기지국과 단말기 간 장애 탓에 평균 2~3%는 누락된다. 유일호 새누리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정보유출 사고가 터진 세 카드 중 농협카드는 2012년 3월부터 2014년 3월까지 2만2,112건이 결제되고도 문자로 통보되지 않았다. 롯데와 국민카드 역시 100건당 두세 건은 누락됐다는 게 감독당국의 설명이다. 카드사나 통신사는 100건당 두세 건이라면 낮은 확률이라고 항변할지 모르지만 만약 그 두세 건 중 한 건에서 불법 결제가 발생한다면 고객의 실망과 불안은 확률을 뛰어넘고도 남는다. 이런 사실을 모르는 고객은 지금도 결제통보 서비스를 신청을 늘리고 있다.

카드사는 문자가 누락된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들이 약관에 통신사 단말기 장애로 누락 문자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겠다고 적어놓은 것이 이를 말해준다. 그렇다면 월 300원인 문자통보 서비스를 무료로 하네 마네로 시간을 보낼 게 아니라 누락률을 알리고 어떻게 하면 줄일지 고민하는 게 올바른 방법이 아니었을까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