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혁신도시·기업도시를 가다] <8> 무주

수용지주민-郡 '도시개발' 대립<br>郡 "관광레저단지 조성해 성장동력 육성"에<br>주민들 "지정전 시세보다 감정가 낮다" 반발<br>"시행사 재원조달력 의문" 등 잡음도 잇달아



“기업도시라고 해야 골프장이나 짓겠다는 것이지, 강제로 땅 뺏기고 나면 우리헌테 뭔 이득될 것이 있겄어. 안그런가?” 지난해 7월 전남 영암ㆍ해남과 함께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예정지로 결정된 전북 무주군 안성면 일대. 부동산중개업소 간판을 내걸었지만 지금은 폐업한 빈 가게에서 촌로 서너명이 소주 잔을 기울이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었다. 조용히 농사짓고 잘 살던 시골에 정체불명(?)의 기업도시 바람이 불어 마을을 온통 들쑤셔놓은 바람에 잔뜩 화났다는 표정들이었다. 기업도시 예정지역 주민 빈옥구(51)씨는 “기업도시 지정 전에도 평당 7만~10만원씩 하던 논인데 감정가는 3만5,000원밖에 안된다고 하더라”며 “주변 땅은 몇 배씩 올랐는데 보상금을 받아도 땅 잡혀 돈 빌린 농협에 다 빼앗기고 오갈 데 없이 쫓겨날 판”이라고 말했다. 예정지 주민들은 무주군이 이장들을 동원해 90% 이상의 주민동의를 받아냈다며 최근 ‘기업도시 반대 주민 대책위원회’를 꾸린 데 이어 행정소송과 헌법소원까지 불사하겠다는 강경 입장을 보이고 있다. 여느 혁신ㆍ기업도시처럼 수용대상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지만 덕유산 자락에 위치한 이 시골동네의 전반적 분위기는 차분히 가라앉은 편이다. 평당 3만원 하던 땅이 최고 20만원까지 치솟은 주변지역 주민들은 내심 기업도시를 반기면서도 수용지역 주민을 의식해 쉬쉬할 뿐이다. 공동 시행자인 무주군과 대한전선은 무주 기업도시를 천혜의 청정환경과 여유있는 레저가 어우러지는 ‘슬로밸리’(Slovally: Slow와 Valley의 합성어)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기업도시에 나홀로 참여한 대한전선 입장에서는 계열사인 무주 리조트와 골프장을 연계하는 대단위 관광 상품을 만들어내고, 무주군은 태권도 공원, 덕유산 국립공원과 3각으로 엮는 성장동력을 키운다는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지난 1월 발주한 용역이 마무리되면 9월께 개발계획 승인을 신청한 뒤 내년 실시계획을 내고 2008년에 착공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총 1조8,000억원, 예상인구는 2만명이다. 그러나 예정지 주민들의 반발은 차치하고라도 대한전선의 사업추진 의지와 재원조달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무주군 안팎에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형편이다. 그동안 주변 땅값이 많이 올라 적지않은 토지보상금이 소요될 전망인데 과연 대한전선이 그만한 돈 보따리를 준비해 놓고 있느냐는 의문이 적지않다. 기업도시특별법이 예정지 면적의 50%만 확보하면 나머지 토지의 강제수용권을 민간기업에게 주고 있어 사업추진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을 경우 주민들만 고스란히 피해를 보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신호상 무주군 국책사업추진단장은 “일부 주민들이 특정 기업을 위한 사업이라고 오해하는데 기업도시의 취지와 규정상 불가능한 일”이라며 “더 이상 쌀 농사만으로는 앞길이 보이지 않는 지역사회를 위해 기업도시는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전선은 1조8,000억원에 달하는 사업비 조달을 맡고 전북도와 무주군은 도ㆍ군유림을 현물 출자해 사업 추진을 뒷받침하게 된다. 신 단장은 “대한전선은 50년간 흑자를 내온 건실한 기업으로 충분한 자금조달 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개발계획이 수립되면 또다른 투자자를 유치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