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리당-민노 '짝짓기' 힘싣나

輿 지도부 "여소야대 타개책으로 당연"<br>민노도 "비정규직案 수용땐 연정 검토"

노무현 대통령의‘연정론’이 공론화 되면서 정치권에서는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 사이의 연정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노 대통령의 구상이 개헌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것이지만 당장 연정이 현실화한다면 우리-민노의 짝짓기가 가장 설득력이 크다는 분석이다. 뿌리를 공유하고 있는 민주당의 경우 우리당에 대한 거부감이 큰 상태다. 일단 분위기는 만들어지고 있다. 문희상 의장과 정세균 원내대표 등 우리당 지도부는 일제히 여소야대 타개책으로 연정을 생각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정 원내대표는 특히 ‘정책연합’ 단계를 염두해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노당쪽에서도 연정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노회찬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사견임을 전제로 “비정규직 문제 해소 등 민노당의 핵심정책이 수용된다면 연정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노 의원은 연정의 형식에 대해선 “정책공조일 수도, 연립정부일 수도 있다”고 했다. 심상정 수석부대표도 “민노당의 진보적인 가치에 대해 우리당이 어느 정도에서 어떤 속도로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정책연대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심 의원은 “우리당이 대기업 중심의 경제정책을 포기하고, 과거 청산에 대한 개혁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면 일정기간 함께 행동하는 의미의 연대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결국 우리당이 민노당의 요구를 어느 선에서 수용하느냐에 따라 ‘사안별 공조’냐 ‘정책연대’냐 등 연정의 수위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각각“국정 난맥상을 돌파하기 위한 수” “연정은 야당 흔들기”등의 수사를 써가며 여권을 맹비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