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李대통령, 민심수습용 개각 기정사실화

천주교 지도자들과 오찬<br>정운천·김성이장관등 5~6명 중폭이상 교체 유력<br>靑 "박근혜 총리설, 좋은 정국수습 방안의 하나"

흩어진 민심 수습하기 위해 ‘장고’에 들어간 이명박 대통령은 9일 정진석 추기경과의 1시간 20분동안의 오찬회동에서 최근 고민하고 있는 부분들의 단초를 내보였다. 당장 이 대통령은 민심 수습용 개각 등 인적쇄신을 우회적으로 기정사실화 했다. 이 대통령은 “국회가 빨리 열려야 민생관련 법안이 처리될 수 있고 개각을 하더라도 청문회 절차 등을 밟아 국정공백을 최소화할 있다”며 국회의 조속한 개원을 주문했다. 정 추기경이 촛불시위 참여 국회의원들에 대해 “국회의원들은 국회에서 활동하는 것이 본연의 임무이며 국회가 그분들의 정위치”라고 말한 데 대한 답변차원 이었지만 개각을 전제로 한 인사청문회를 언급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5월22일 대국민 담화에서도 “국민여러분께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국정초기의 부족한 점은 모두 저의 탓이다”라고 밝힐 때도 인적쇄신에 대해 부정적인 기류를 보인 것과는 상당한 진전이 있는 발언이다. 다만 개각을 포함한 인적쇄신의 폭은 여전히 대통령의 결심에 달렸다. 청와대 일부에서는 기왕에 문제가 된 정운천 농수산식품부 장관과 김성이 보건복지부장관,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기본으로 해서 일부 경제부처 장관까지 포함해 5~6명정도의 중폭이상 개각이 유력한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여권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박근혜 전 대표의 총리 기용설과 관련해서 “(성사) 여부를 떠나 좋은 정국 수습 방안의 하나로 나온 것이며 택할 것이냐 마느냐는 정치적 결단의 문제”라고 말했다. 즉 한승수 총리 등을 포함한 내각 총사퇴 카드도 박 전 대표가 총리직을 받아들일 경우 전혀 배제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또 촛불시위 등에서 나타난 민심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점을 인정했다. 정 추기경이 “국민여론에 좀 더 귀울여 달라”라는 주문을 받고 이 대통령은 “국민 정서를 헤아리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국민이 마음을 연 뒤에야 무슨 말을 해도 납득한다는 점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연일 계속되는 시위와 언론보도 등을 접한 이 대통령이 어떤 점에 고심하고 있는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청와대의 핵심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당분간 가급적 일정을 잡지 않고 최근의 상황을 정리하는 시간을 많이 가질 것”이라며 “"상황이 엄중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