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LG전자, ‘품질보안관’제도 확대…품질경영 강화

LG전자가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품질경영 강화에 나섰다. 홈어플라이언스(HA)사업본부가 지난 8월부터 중국 3개 사업장에서 시작한 품질 보안관 제도를 연말까지 인도와 인도네시아, 태국, 러시아, 폴란드, 멕시코 등 6개 해외사업장으로 확대한다고 5일 밝혔다. 이는 구본준 부회장이 취임 이후 강조해온 품질경영을 강화하고자하는 활동의 일환이다. 구 부회장은 취임식은 물론 올 초 시무식에서 품질문제에서 타협하지 않을 것을 강조한 바 있다. 품질보안관 제도는 제품 사업부와 해외생산법인에서 생산 시작부터 포장공정까지 전체 공정을 감독하는 제도다. 품질보안관은 사업본부장을 대신해 감독임무를 맡게 되며 품질저해요인이 발생하면 경고스티커를 발송하거나 생산중단, 출하중지 명령을 직접 내릴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LG전자 HA사업본부는 이와 함께 국내외 사업장에서 ‘붉은 신호면 선다’, ‘품질은 판매다’ 등의 내용을 담은 고객만족 7원칙을 정하고 현장 적용했다. HA사업본부장인 이영하 사장은 최근 이와 관련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사업장에서도 품질 관리 눈높이를 높이고 불량제품을 절대 출하하지 않도록 하라”며 “모든 임직원들이 고객만족 7원칙을 반드시 준수하는 풍토를 조성하라”고 지시했다. LG전자는 아울러 일선 매장 및 영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품질 문제점이나 제도 등에 대해 개선을 건의하고 이를 시상하는 품질 신문고 이벤트도 진행한다. 회사관계자는 “생산 및 판매, 서비스 등 모든 부문에서 불량 제품이 시장에 나오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