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정일 사망] "다시 교류 물꼬 트기 시작했는데…" 또 단절 되나

■ 인도적 지원 영향<br>"당분간 관계 진전에 어려움"<br>"되레 활성화 가능성" 관측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은 겨우 화해의 물꼬를 트기 시작한 민간 남북 교류 활성화에도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급격하게 경색됐던 남북 관계는 최근에서야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등 민간단체들의 노력으로 교류의 물꼬가 트인 상황이었다. 북민협은 지난 9월 북한 강남군 내 탁아소ㆍ유치원ㆍ소학교 등 4개 시설에 밀가루 250톤과 의약품ㆍ이유식 등 4억원 상당의 구호물자를 전달한 바 있으며 17일에는 박종철 북민협 회장을 비롯한 대표단 10명이 북측의 초청으로 평양을 방문하기도 했다. 지난해 천안함 사건에 따른 '5ㆍ24 대북제재조치' 이후 처음 이뤄진 민간 방문이다. 북민협 산하 민간구호단체 월드비전의 이주성 북한사업팀장은 "북민협은 물론 최근 월드비전도 자체적으로도 북한을 방문해 어린이들을 위한 밀가루 지원을 하고 왔다"며 "추후 더 긴밀하게 관계를 갖자고 약속하고 돌아왔는데 김 위원장의 사망으로 인해 당분간 더 이상의 관계 진전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체제가 다시 안정되기 전까지 북한이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히 통제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대한적십자사 남북교류팀 관계자 역시 "지난 1년간 대북 관련 지원을 진행할 수 없을 정도로 상황이 악화돼 있었기 때문에 김 위원장 사망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적십자사는 1999년부터 정부의 남북협력기금 지원을 받아 대규모 지원을 해온 민간단체다. 사업을 시작한 1995년부터 지난해까지 대북 지원 규모는 총 1조9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올해는 8월 50억원 규모의 수해 지원을 북측이 거절하며 한 건의 대북 지원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북한 체제가 조기에 안정될 경우 오히려 남북 민간교류가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국가 지도자가 사망한 상황에서 당분간 북한 내 혼란스러운 상황이 계속될 것"이라며 "우리 정부가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에 따라 남북 교류가 급격하게 확대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