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교육계 협의체 구성, 대입개선안 내주 확정"

安부총리 호소문 발표 "등급제 논란 유감" 표명<br>"교육 내실화ㆍ지역학교간 학력차 해소 지속추진"

안병영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14일고교등급제 논란과 관련, "대학과 고교간 교육과정 연계 강화와 상호 신뢰회복을 위해 대학과 고교, 학부모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만들어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안'은 다음주 확정, 발표할 것"이라고강조했다. 안 부총리는 이날 오후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호소문 발표와 기자회견을 통해 대입전형 다양화 취지에 어긋나고 교육적 차원에서도 용인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어 고교등급제 등을 계속 금지할 것임을 분명히 한 뒤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고교교육이 정상화되려면 대학이 협조해야 하고, 대입전형을 제대로 하려면 고교도 성적평가부터 도와줘야 한다"며 "고교, 대학, 학부모, 시.도교육청, 그리고 교원단체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일부에서 전면 연기를 주장하는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안과 관련해서는 "공청회, 전문가 협의를 통해 많은 의견을 수렴한만큼 모든 것을 다시 정리해시안에서 좀더 발전된 형태의 새 대입전형안 완결판을 다음주 발표하겠다"고 강조했다. 안 부총리는 호소문에서 "고교등급제 논란이 교육계와 사회를 혼란에 빠뜨리고있는 것 같아 교육행정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송구스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며 "고교등급제 논란이 교육정책 차원을 벗어나 이념적 대립이나 지역간.계층간갈등으로 비화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어 안타깝다"고 유감을 표했다. 이어 "`성적 부풀리기'가 고교 평가결과에 대한 대학의 신뢰를 약화시켰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지만 이 문제를 들어 고교등급제 적용을 합리화시킬 수는 없다"고강조했다. 그는 또 "이에 따른 소모적 논쟁보다는 학교교육 정상화, 교육기회의 균등, 대학자율, 국가경쟁력 제고, 사회통합성 신장 등 어느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가치를어떻게 조화시켜 나갈 지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대학에는 입학생 구성의 다양화와 잠재력 있는 학생의 발굴을, 고교에는 신뢰할 수 있는 성적 처리를, 학부모에게는 학교에 대한 신뢰와 애정을 각각당부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