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개별기업중심 여신심사

SK글로벌 사태를 계기로 앞으로 그룹차원의 유무형 지원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시중은행들이 여신정책의 중심을 `개별기업` 쪽으로 전환하고 있다. 13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재벌체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앞으로 가중될 것으로 판단, 그룹보다는 개별기업 신용도를 중심으로 여신심사를 하기로 했다. 이에따라 대기업 대출이나 여신한도를 정할 때 계열(그룹) 신용등급(4단계)의 비중을 낮추고 10단계로 된 계열 소속기업의 신용등급을 주된 기준으로 삼을 방침이다. 국민은행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의 탈은행화 추세도 요인이 되고 있지만 재벌그룹 체제가 안고있는 문제점이 커지고 있어 그룹 중심의 은행 여신정책에 일대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그룹 신용등급은 동일인 여신한도 등의 관리차원에서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35개 재벌그룹의 여신한도를 25% 가량(1조원) 감축했으며 올해도 비슷한 비율로 줄일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흥은행도 SK글로벌 사태를 계기로 계열(그룹)보다는 계열소속 기업의 신용도와 재무건전성을 개별적으로 따져 대출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조흥은행은 또 그룹과 소속 기업의 신용등급을 모두 반영한 `가중평균 신용등급`을 통해 여신한도를 조정하면서 신용등급이 저조한 그룹의 한도를 줄여나가기로 했다. 신한은행도 올해 업무계획에서 그룹보다는 개별기업의 신용상태를 중점적으로 따져 대출을 결정하기로 하고 관련 신용평가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조의준기자 joyjune@sed.co.kr>

관련기사



조의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