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적립금 더쌓으면 경영평가 가산점

금감원 "적립금충당-고배당-임금인상이 바람직한 순서"

앞으로는 은행들이 순이익을 각종 적립금을 쌓는데 우선적으로 사용할 경우 경영실태평가 과정에서 가산점을 받게 된다. 이는 국내 은행들의 올 상반기 순이익이 사상 최대인 3조5천여억원에 달한데다 연말 예상순이익도 8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금융감독당국이 은행의자산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 정기승 은행감독국장은 19일 "올들어 각 은행들이 상반기는 물론 연말까지 사상 최대의 흑자를 낼 것으로 보이지만 최근 경제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만큼 이익을 은행의 자산건전성을 높이는데 사용해 사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 국장은 "이를 위해 각 은행들이 일정시기 배당에 앞서 대손충당금, 법적적립금, 이익준비금 등 `내부유보금'을 감독당국의 권고에 맞게 쌓았더라도 합리적인 선에서 추가 적립할 경우 경영실태평가 과정에서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금융기관이 경영실태평가에서 가산점을 받으면 향후 검사주기가 길어지게 되고, 각종 상품 인.허가 과정에서의 제한이 없어지며, 경영개선을 위한 각종 자본확충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 국장은 "각 은행들이 사상 최대의 순이익을 우선적으로 내부 유보하는데 주력한 뒤 잉여부분에 대해선 주주들의 권익보호 차원에서 고배당을 실시하고 그이후에 임금인상 등 경비지출에 나서는게 바람직한 순서"라고 권했다. 국내 19개 은행들의 올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3조5천87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배에 육박했으며 올 전체 순이익은 무려 8조원에 달할 것으로 감독당국은 예상하고 있다. 금감원은 자본적정성(Capital adequacy), 자산건전성(Asquality), 경영관리(Management), 수익성(Earnings), 유동성(Liquidity), 시장리크스민감도(Sensitivity to market risk) 등 6개 항목을 기준으로 금융기관 경영실태평가를 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강원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