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키프로스, 구제금융 조건 합의…시한 2년 연장

국제채권단과 MOU, 세수증대·지출감축 등 합의

키프로스 정부가 목표 시기를 2년 더 늦춘 2018년까지 구제 금융 조건을 이행하기로 했다.


EU 전문매체 EU옵서버 등은 2일(현지시간) 키프로스가 국제 채권단인 유럽연합(EU)집행위원회, 국제통화기금(IMF), 유럽중앙은행(ECB) 등 소위 ‘트로이카’에 강력한 구조조정을 실행해 균형예산을 달성하기로 약속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애초 지난해 11월 합의한 양해각서는 세수 증대, 정부 지출 감축, 국유재산 매각, 의료보장 및 연금 개혁 등의 구조조정 방안을 담았다.

양해 각서는 키프로스가 2016년까지 균형예산을 달성하기로 했다. 그러나 니코스 아나스티아데스 대통령 정부가 새로 들어서고 나서 목표 시기를 2년 더 늦춘 2018년까지로 연장, 구제금융 이행 조건을 완수하기로 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아나스티아데스 대통령 정부와 채권단은 새로운 상황을 반영한 양해각서에서 앞으로 4년 동안 공공 부문 임금과 연금을 3% 삭감하기로 합의했다.

관련기사



키프로스 정부는 이 기간에 공무원 1,800명을 감축하고 연금 지급 시기를 2년 늦춘 65세부터 지급할 계획이다. 세수 증대를 위해 법인세는 12.5%로, 부가가치세는 19%로 각각 인상하기로 했다.

키프로스 정부는 또 올해 예산에서 세금 인상과 지출 감소를 통해 3억5,000만유로의 추가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다.

키프로스는 지난달 EU 등 국제채권단으로부터 100억 유로(약 14조4,000억원)의 구제금융을 받는 대가로 과도한 금융부문을 과감히 축소키로 하는 등의 구제금융 조건에 합의했다.

한편, 3주간 거래를 중단했던 키프로스 증권거래소는 이날 거래를 재개했으나 일부 은행주가 20%가량 폭락하는 등 금융주가 하락세를 보이며 2.2% 떨어져 마감했다.

이와 함께 키프로스 중앙은행 관계자는 현금의 국외 반출을 금지한 것을 골자로 한 ‘자본통제’는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