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보험료는 왜 안내리나" 볼멘소리

보험사 작년 순익 50% 늘어 6兆나 달하는데…

보험사들이 한 해 6조원에 달하는 순이익을 내면서도 보험료 인하는 외면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16일 금융계에 따르면 3월 결산법인인 16개 주요 생명보험사와 15개 손해보험사의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의 순이익은 4조5,400억원에 달했다. 올해 1월부터 3월까지의 실적을 더하면 2010회계연도(2010년 4월~2011년 3월) 당기순이익은 6조원 안팎일 것으로 추정된다. 2009회계연도 보험사들의 총순이익이 4조원가량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50% 정도 확대된 수치다. 생보사들은 종신보험 등의 판매가 잘 이뤄지면서 대부분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의 순익은 3조원을 넘어서 2009회계연도 순익(2조4,000억여원)을 뛰어넘었다. 손보사들도 자동차보험 부문의 적자는 커졌지만 업계 1위인 삼성화재와 코리안리ㆍ서울보증보험 등의 순익이 크게 늘면서 이익 규모가 전년보다 증가했다. 보험사들이 돈을 많이 벌고 있지만 서민들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보험료 인하는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험이 공공재적인 측면이 강한 만큼 순익을 많이 내는 경우에는 보험료 인하로 가입자들에게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생보사들은 매년 2조원에 달하는 사업비 차익을 거두고 있다. 사업비란 보험사들이 가입자 유치시 쓰는 마케팅 비용인데 생보사들은 보험료에 사업비를 포함시키고 있다. 처음에 계획한 사업비를 다 쓰지 않고 남게 되면 이를 보험사들이 챙기게 되는데 이런 방식으로 앉아서 버는 돈이 2조원에 달한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보험사들이 사업비를 과다 책정해 손쉽게 돈을 벌고 있다고 비판한다. 조연행 보험소비자연맹 사무국장은 "보험사들이 막대한 순익을 거둬들였다는 것은 보험료 인하 여지가 충분히 있다는 의미"라며 "어려운 서민 생계를 생각해서라도 보험료가 저렴한 상품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