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최신 'RFID시스템' 구축한 남북출입시설

"다음의 기록으로 심사를 완료하시겠습니까". 이종석(李鍾奭) 통일부 장관이 15일 준공된 경의선 도로 출입시설에서 자신의 전자식 방북카드를 인식장치에 갖다 대자 출입 관리 담당자의 모니터에는 이 장관의 사진 및 인적사항과 함께 심사 완료를 묻는 문구가 떴다. 이는 무선인식(RFID) 기술을 이용한 출입 및 물류 관리시스템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경의선 출입사무소의 전체 통행 체크포인트 88곳 가운데 23곳에 RFID 리더기를 비롯한 관련 시스템을 설치했다. 종전처럼 여권 형식의 방북증명서로 이용객의 인적사항을 일일이 대조해 도장을찍는 대신 마우스로 클릭만 한 번 하면 된다. 이 때문에 통행 및 통관에 걸리는 시간을 10% 이상 줄일 수 있었다고 정부측은 설명하고 있다. 지금은 시험적으로 운영 중이지만 북측 출입시설에도 설치할 방침이다. 이 기술은 인원은 물론 물자의 통관에도 적용된다. RFID 기술은 개성공단에 대한 전략물자의 반출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물자 관리를 위해 작년 초부터 도입이 추진됐다. 그 후 정보통신부로부터 6억원의 시범예산을 확보해 작년 9월 설계를 끝내고 지난 해 12월에는 경의선 출입사무소에 관련 시스템을 설치했다. 또 이번 달에는 법무부와 관세청 등 유관 기관과 RFID 운영에 필요한 업무연계시스템을 구축한데 이어 앞으로 동해선 구간에도 적용할 방침이다. 사용이 본격화되면 남측의 방문증과 북측 출입증, 남측의 차량등록증과 북측의자동차운행증이 일원화돼 남북이 하나의 카드를 사용하게 될 수 있을 전망이다. 지난 해 북한 방문증명서(단수) 발급 건수는 1만4천862건, 이에 따른 발급비용은 3천344만원에 달했다. 이 경우 한 건당 발급비용은 2천250원이었지만 RFID 기술을 적용할 경우 80원까지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한편 이날 준공된 경의선 도로 출입시설에는 법무부와 보건복지부, 관세청, 현대아산, 대한통운, 우리은행(환전소) 등 관계 기관 및 기업이 입주했고 2층에는 남북회담장과 남측 및 북측 기자실을 마련, 회담시설도 갖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