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제조업 살리기로 일자리 늘린다

정책 총괄 고위급 신설할듯

오바마 행정부가 미국의 제조업 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고위급 자리를 신설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 부흥을 통해 갈수록 줄어드는 제조업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포석이다. 백악관은 오바마 행정부의 자동차 태스크포스(FT)를 이끌고 있는 론 블룸 '자동차 차르'에 미국 제조업 정책을 총괄하는 새로운 책무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자동차 테스크포스는 재무부 직속 비상설기구로 그 동안 제너럴모터스(GM)와 크라이슬러의 구조조정 계획을 지휘해왔다. 두 회사는 공적자금을 지원 받아 파산보호신청 1개월 만에 법정관리에서 졸업, 강력한 구조조정을 통해 부활을 꿈꾸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가 검토중인 제조업 정책 총괄 조정관은 제조업 분야의 최고위 정책 결정자로 미국의 제조업 경쟁력 제고 방안 등을 마련하게 된다. 이 같은 구상은 GM과 크라이슬러의 구조조정 계획이 큰 틀에서 완료 된데다 제조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노동부에 따르면 미국의 제조업 일자리 수는 지난 1979년 1,960만개를 정점으로 급속히 줄어들어 지난해 말 현재 1,180만개로 떨어졌다. 이는 1941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이에 따라 공장 근로자가 비농업 부문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30년간 22%에서 9%로 감소했다. 특히 오바마 행정부는 7,870억 달러의 경기부양책 시행으로 일자리 35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공언과 달리 연내 실업률이 10%에 이를 정도로 고용사정이 악화된 점은 '제조업 정책'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됐다는 분석이다. 미국은 중국과 독일 등 제조업 강국과 달리 시장 논리에 집착한 나머지 행정부에 제조업 정책 총괄 조정권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부시 행정부는 상무부에 일명 '제조업 차르'를 설치했지만 기능과 역할이 유명무실했다. 이번에 신설되는 총괄 조정관은 제조업 차르 보다 더 고위직이 될 것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