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與-민주-고건 정계개편 신경전 '팽팽'

고건 우호인사 접촉확대등 세불리기 작업<br>우리 여론의식 당분간 정책문제 주력키로<br>민주 고건신당 파장 저울질…신중한 행보

김근태(오른쪽) 열린우리당 의장은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의원총회에서 인사말을 마치고 고개를 숙여 의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신상순기자

정계개편을 둘러싼 범여권내 3파전이 시작됐다. 고건 전 총리가 신당 창당을 선언한 뒤 가속도를 내면서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의 ‘2파전’에 플러스 알파 정도로 예상됐던 역학구도가 3각 구도로 급속 재편되는 분위기다. 고 전 총리측은 지난 2일의 신당창당 선언 이후 세 불리기 작업을 본격화했다. 고 전 총리측은 앞으로 대통령선거캠프와 같은 역할을 할 ‘희망연대’ 사무실을 오는 10일 열기 위해 마무리 작업에 들어갔으며 정치권의 우호 인사들과 접촉을 확대하고 있다. 접촉 대상은 고 전 총리의 행정관료시절 인맥이나 경기고, 서울대 학맥, 열린우리당내 통합신당 지지세력, 민주당 및 국민중심당내 중도세력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재야에선 ‘희망연대’와 ‘미래와 경제’등 전문가 집단이 브레인 역할로 참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미 고 전 총리 지지파로 입장을 밝혔던 안영근 열린우리당 의원은 3일 MBC 라디오의 방송프로그램에서 신당의 규모에 대해 “고 전 총리가 주도하는 국민통합신당이 창당되면 열린우리당에서 100명이 넘는 의원들이 합류할 것이므로 교섭단체 구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자신감을 나타낼 정도다. 정치권에선 고 전 총리가 아직 자금과 세력을 제대로 규합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신당에 합류할 의원의 규모가 많아야 20명 안팎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민주당이 최근 지역적 기반이 같은 고 전 총리측을 경쟁관계라고 규정한 상태이며 열린우리당 내에서도 통합신당을 놓고 이견이 많아 아직 고 전 총리의 창당 선언 성과를 낙관하기엔 이르다. 그러나 이 같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고 전 총리의 신당 창당 선언은 자신이 정계개편의 한 축임을 공식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더구나 그 동안 정계개편 이슈를 주도했던 여당과 민주당의 움직임이 잠시 주춤한 것도 고 전 총리측에는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북핵 사태와 민생현안이 산적한 상태에서 ‘정치놀음’에 몰두한다는 여론을 의식해 3일 정책 의원총회를 기점으로 당분간 정계개편 논의보다는 정책문제에 주력하기로 했다. 김한길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정책 의총에서 소속 의원들에게 “앞으로 당의 진로에 대해선 비상대책위원회에 일단 맡겨두시고 정기국회의 남은 회기 중에는 의정활동에 전념하기를 부탁 드린다”고 말해 정계개편 논의에 거듭 쐐기를 박았다. 민주당은 지난 10ㆍ25 재보궐선거에서 여당의 참패 이후 통합신당 추진의 주도권을 잡는 듯한 기세였으나 고 전 총리의 신당 창당 선언 이후에는 앞으로의 파장 분석을 위해 일단 대외활동에 신중을 기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