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오존층 복구 성공적…1980년 수준 돌아갈 것"

지구 온난화로 인해 파괴되던 오존층을 복구하기 위한 국제 협력이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환경계획(UNEP)과 세계기상기구(WMO)는 10일(현지시간) 발간한 ‘오존층 파괴에 대한 과학적 평가 2014’에서 오존층을 지키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에 힘입어 오존층이 향후 수십 년 내에 복구될 수 있는 궤도에 올랐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4년 만에 처음 이뤄진 오존층에 대한 조사로, 오존층이 1980년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1989년 발효된 몬트리올의정서에 따라 오존층을 파괴하는 염화불화탄소 등에 대한 국제적인 규제가 성공적인 만큼 오존층이 심각하게 파괴되기 이전으로 회복되는 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오존층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감소했지만 2000년부터 변하지 않고 있다면서 앞으로 복구될 것이라는 지표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몬트리올의정서에 따른 규제가 이뤄지지 않았다면 오존층 파괴 물질은 2050년까지 10배로 증가했겠지만 의정서에 따라 오존층 파괴물질이 줄어들면서 지구의 생명체들이 보호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간 200만건의 피부암이 억제되고 있으며 인간의 눈과 면역체계 손상도 예방되고, 야생 동물과 농업도 보호받고 있다는 것이다.

유엔환경계획 아킴 슈타이너 사무총장은 몬트리올 의정서를 “가장 성공적인 환경 협약의 하나”라고 부르며 “성층권의 오존층을 보호하고, 자외선이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것을 막았다”고 평가했다.

세계기상기구의 미셸 자로 사무총장도 “국제적인 행동으로 환경을 지키기 위한 성공 스토리가 생겼다”며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국제행동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오존층 파괴 물질의 단계적 금지는 글로벌 기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