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BHP빌리턴도 인도서 발 빼

정책 불투명하고 규제 지나쳐 월마트 등 올들어 철수 잇따라

세계 최대 광물ㆍ자원회사인 호주의 BHP빌리턴이 인도 사업에서 발을 뺀다. 올해 들어 포스코ㆍ아르셀로미탈ㆍ버크셔해서웨이부터 최근 월마트에 이르기까지 정부 정책의 불투명성과 지나친 규제를 이유로 인도 사업을 축소하거나 철수한 기업들이 줄을 잇는 가운데 가뜩이나 외국인 이탈로 몸살을 앓고 있는 인도 경제는 또 한차례 타격을 입게 됐다.

22일(현지시간) BHP는 "더 이상 인도에 보유하고 있는 광산자원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기 어려운 환경에 처했다"며 "인도 내 10개의 광산ㆍ원유 채굴사업 중 9개를 취소하겠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BHP의 철수를 이끈 것은 인도 정부의 정책 불투명성과 지나친 규제라고 분석했다. WSJ는 "BHP가 중앙정부로부터 사업승인을 받았으나 오랫동안 국방부로부터 명확한 승인을 받지 못해 이 사업을 어떻게 운영해야 할지 골머리를 앓아왔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BHP의 철수로 자국 내 에너지 생산을 늘려 막대한 에너지 수입량을 줄이려는 인도 당국의 노력에도 차질을 빚게 됐다고 BBC는 평가했다. 인도에는 원유ㆍ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하지만 채굴을 위한 기술 및 제반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다국적기업을 끌어들여 에너지 생산을 늘리려 하지만 중앙부처와 지방정부 간 이견으로 사업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인도는 세계 4대 에너지 소비국이며 원유 수요의 80%, 천연가스 수요의 25%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아울러 외국자본을 유치해 경제성장을 이끌어내려는 정부의 노력도 후퇴하게 됐다. 기술 및 인프라가 부족한 인도 경제의 '생명수'격인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올 1월 32억400만달러에서 8월 말 현재 19억5,300만달러로 급감했다. 2ㆍ4분기 인도 경제성장률은 4년3개월 만의 최저인 4.4%에 그쳐 투자회복이 절실한 상황이지만 전문가들은 적어도 내년 5월 총선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사라지기 전까지 FDI가 늘어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상황이 심각한데도 인도 정부는 태평한 모습이다. 비라파 모일리 인도 석유부 장관은 최근 "내년 1월로 예정된 유전개발 입찰에 많은 투자자들이 몰려올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