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쌀소비량 감소 심각하다

1인당 하루평균 2공기 소비… 잡곡류는 증가우리나라의 1인당 연간 쌀소비량이 사상 처음으로 90㎏미만으로 줄어들었다. 특히 비농가의 쌀 소비량감소가 더 커 비농가 1인당 쌀소비량은 농가의 61%선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30일 통계청이 전국 1천253가구를 표본으로 조사해 발표한 2001 양곡연도(2000.11.1∼2001.10.31) 가구부문 양곡소비량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은 2000년의 93.6㎏에 비해 5%가량 줄어든 88.9㎏에 그쳤다. 한 사람당 1일 평균 쌀소비량은 243.8g으로 1일 2공기(1공기 120∼130g)정도의 쌀을 소비하고 있었다. 농가 1인당 연간 쌀소비량은 137.8㎏으로 전년보다 1.5%가량 감소한 반면 비농가의 1인당 쌀소비량은 84.5㎏으로 5.3%나 줄어 쌀소비량 감소를 주도했다. 용도별로는 1인당 연간 88.9㎏중 87.2㎏이 주식으로 사용된 반면 떡.과자용으로는 1.6㎏밖에 사용되지 않아 밥뿐 아니라 떡,쌀과자 등에 대한 선호도 역시 낮아졌다. 쌀을 비롯해 보리쌀,밀가루,잡곡류 등을 포함한 전체 1인당 양곡소비량은 102.2㎏으로 전년에 비해 역시 5%가량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쌀,밀가루(-11.8%)의 소비감소에 비해 보리쌀(6.3%),잡곡류(12.5%)는 오히려 증가해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통계청은 육류,과일류 소비증가 등 식생활 서구화로 인한 쌀소비량의 지속감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1인당 쌀소비량은 일본(65.1㎏.'99), 대만(54.2㎏.2000)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이번 조사에는 외식을 통한 쌀소비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