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카드업계 경영전략 '리스크 관리'로 급선회

당국 외형경쟁 규제에 연체율 관리 강화 등 하반기 목표수정 나서

카드업계가 하반기 경영전략을 새로 짜고 있다. 최근 금융당국이 외형경쟁 차단을 위한 특별대책을 내놓음에 따라 수익성보다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경영전략 및 목표 수정이 불가피해서다. 12일 신용카드업계에 따르면 주요 카드사들은 금융당국의 카드시장 관련 특별대책 시행에 맞춰 올 하반기 경영목표를 수정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카드업계는 카드대출 부문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올 상반기에 공격적으로 영업해온 카드대출 영업을 자제하고 저신용자 카드대출은 특별 관리할 방침이다. 연체위험이 있거나 이미 연체를 한 회원에 대해서는 회수독촉 시기를 앞당기고 대출한도도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연초 계획했던 경영전략을 수정해 하반기에는 보수적인 경영목표를 세울 방침"이라며 "카드대출 영업을 자제하고 공격적으로 추심을 전개해 연체율 관리를 엄격하게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밝힌 레버리지 규제에 대비하기 위한 몸 만들기 작업에도 착수했다. 레버리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카드자산(신용판매+카드대출)을 줄이거나 자기자본을 늘려야 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자기자본을 늘리는 것은 공격적인 영업을 이어가겠다는 뜻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는 부가서비스를 비롯한 고객사은행사 등 마케팅을 줄이고 대출상환을 보다 철저하게 관리할 계획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부가서비스와 고객사은행사를 줄이면 고객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지만 레버리지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른 방도가 없다"며 "신용판매를 줄이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카드대출을 관리해 레버리지를 줄일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이 같은 경영전략 선회 움직임과 관련해 선발회사와 후발회사 간 온도 차이도 감지된다. 회원 1,000만명 이상을 확보해 신규회원 모집 필요가 적은 신한ㆍKBㆍ삼성ㆍ현대카드 등은 하반기 경영전략 수정에 적극적인 반면 후발주자로 회원 확대가 절실한 롯데ㆍ하나SK카드 등은 전전긍긍하고 있다. 하위권 카드사들은 일정 규모 이상의 회원 확대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금융당국의 특별대책으로 운신의 폭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카드상품은 근본적으로 차별화가 어려워 마케팅이 시장점유율 확대에 가장 큰 수단"이라면서 "적정 회원 수를 확보하지 못하면 사업의 특성상 적자로 이어질 가능성도 커 걱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