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국제 화학올림피아드 형따라 동생도 금메달'화제'

박현우·영우군

세계 최고의 과학영재들이 실력을 겨루는 국제화학올림피아드에 세살 터울의 형제가 한국대표로 3년 간격으로 출전, 잇따라 금메달을 따내 화제가 되고 있다. 주인공은 박현우(21), 영우(18) 형제. 동생 영우군은 지난달 20일 독일 킬에서 열린 제36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에서 68개국 233명의 영재들을 물리치고 당당히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앞서 형 현우씨는 지난 2001년 인도 뭄바이에서 열린 33회 대회에서 역시 금메달의 영예를 안았다. 현우씨는 서울공대 전기전자공학부 2학년 재학 중 군에 입대, 복무하고 있다. 현우ㆍ영우 형제는 국제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을 딴 것 외에도 지금까지 3년 간격으로 똑같은 길을 걷고 있다. 형제가 모두 서울 노원구 중평초등학교를 시작으로 중평중학교ㆍ서울과학고를 다녔다. 동생 영우군이 현우씨를 3년차로 뒤따르고 있는 것. 영우군은 대학도 형을 따라 서울대 공대를 희망하고 있다. 서울시가 매년 최우수학생에게 수여하는 ‘서울시 학생상’도 형제가 잇따라 수상했다. ‘세계 최고의 과학영재’라는 자랑스런 닉네임의 형제를 둔 부모는 박찬갑(48), 이선기(46)씨 부부. 박씨는 LG화학 사업재본부 부장이고 어머니 이씨는 우암초등학교 교사로 재직 중인 보통 사람들이다. 박씨는 “바쁜 회사 일로 아이들이 학습하는 데 도움을 주지 못했다”면서 “서울과학고와 대한화학회에서 체계적인 학습프로그램으로 두 아이를 영재로 키워줬다”며 고마움을 표시하며 겸손함을 잃지 않았다. 그러나 역시 과학영재를 키워낸 아버지의 비결은 있었다. ‘수처작주(隨處作主)’. 당나라 임제 선사의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이라는 말씀에서 나온 불교용어. 말 그대로 어떠한 곳에 처하든 주인이 돼 그 자리에서 진면목을 보이라는 뜻이다. 박씨는 평소 공부에 도움은 주지 못했지만 이 말을 두 아들에게 강조했다고 밝혔다. 그는 “단기적으로 세밀한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현재 속해 있는 집단에서 최고가 되면 더 큰 곳에서도 성공할 수 있다는 이 말을 아들들에게 자주 들려줬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