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日 부품소재 기업 국내 유치 나선다

민관, 수입선 다변화등 추진<br>대지진 계기 산업 재편 모색


정부가 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산업구조 재편을 위해 일본 부품소재 기업의 한국 유치를 추진한다. 이와 함께 민관 합동으로 국내 부품소재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핵심부품 수입다변화를 위한 검토작업에 돌입했다. 전자와 자동차 등 핵심산업의 부품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대일 무역적자의 주범인 부품소재 수입의존도를 줄여나가기 위해서다. 18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정부는 일본 대지진 이후 핵심부품 조달차질에 따른 주력산업의 피해 우려가 제기되자 '국내산업구조대응전략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TF에서는 ▦자체 생산능력 확대 ▦투자유치 ▦수입다변화 등을 통해 부품소재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현재 정부는 일본의 피해수습이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하반기 구체화를 목표로 조심스러운 발걸음을 떼고 있다. 국내 주요 기업들 역시 핵심 부품소재 기업 유치 및 수입선 다변화를 위한 대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정부가 이 같은 산업구조 재편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이번 대지진을 계기로 부품소재 분야의 취약성이 고스란히 노출됐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는 주요 기업들의 재고가 남아 있어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오는 6월이 지나면 핵심 부품공급 차질로 PCㆍ휴대폰 등 세트 제품 생산까지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반도체는 실리콘웨이퍼, 자동차는 기어박스와 엔진, 휴대폰은 백업배터리, 디스플레이는 기판유리 등 일본이 아니면 공급받기 힘든 핵심부품이 많다"면서 "우리 기업들이 1~3개월치 재고를 확보했지만 7~8월까지 버틸 수 없어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부품소재 자립도를 높이면 우리 경제의 아킬레스건인 대일 무역역조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 제조용 장비, 자동차부품, 화학제품 등의 수입증가로 지난해 대일 무역적자는 348억8,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부품소재 분야 수입은 대일 전체 수입의 60%에 이르기 때문에 경기호조로 수출이 늘어나면 대일 수입도 늘어 일본에 대한 무역적자가 급증하는 구조다. 구본관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산업단지나 경제자유구역 등을 중심으로 신산업 분야에서 한일 협력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며 "일본도 한국의 부품소재 전용공단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