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난 10년간 한의사·간호사 두배로 늘어

지난 10년 사이에 한의사와 간호사가 거의 두 배로 늘어나는 등 의료인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활동을 접은 의료인이 상당수에 달해 의료인력이 낭비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0일 보건복지부의 의료인력 통계자료에 따르면 한의사 수는 지난 1995년 8,714명에서 지난해 1만6,016명으로 83.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의사는 5만7,188명에서 8만8,776명으로 55.2%, 치과의사는 1만3,681명에서 2만2,366명으로 63.5%, 간호사는 12만415명에서 22만4,142명으로 86.1%, 조산사는 8,352명에서 8,685명으로 4% 늘어났다. 이에 따라 인구 10만명당 의료인 수는 462명에서 742.3명으로 60.6% 불어났다. 의사는 126.8명에서 183.1명으로, 치과의사는 30.3명에서 46.1명으로, 한의사는 19.3명에서 33명으로, 간호사는 267명에서 462.2명으로 늘어났다. 반면 조산사는 18.5명에서 17.9명으로 줄어들었다. 고령ㆍ집안 사정 등으로 활동하지 않는 의료인은 의사가 2만630명, 치과의사 3,850명, 한의사 2,493명이었다. 특히 간호사는 활동 인력의 절반을 훨씬 넘는 12만9,850명이 쉬고 있어 이들을 소화할 수 있는 직종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