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초油粉 가격폭등‥수급 불균형 심화

아시아 NCC공장 잇단 보수로 공급차질

에틸렌을 비롯한 석유화학의 기초유분 가격이 폭등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를 생산하는 아시아의 주요 나프타분해설비(NCC) 공장이 잇따라 시설보수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심각한 공급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7일 석유화학업계에 따르면 아시아 시장의 에틸렌, 벤젠, 부타디엔 등 기초유분가격은 국제유가 상승과 함께 올들어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일본과 대만 등의대규모 NCC공장들이 이달부터 일제히 시설보수를 위해 가동을 중단하면 수급불균형으로 가격상승 압박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석유화학업체들도 원가상승 압박을 받고 있어 이들 업체로부터원료를 공급받는 플라스틱, 고무, 섬유 산업에도 상당한 파급 효과가 미칠 전망이다. 지난 해 아시아 시장에서 t당 478달러에 거래됐던 에틸렌의 경우 올해들어 상승세를 이어가 지난 주에는 845달러에 달했으며 부타디엔은 올해 초 668달러선에서 지난 주에는 1천50달러로, 벤젠은 올해초 563달러에서 지난 주에는 828달러까지 치솟았다. 여기에다 연간 52만5천t의 생산 능력을 갖춘 일본 오사카 NCC공장은 오는 8일부터 한달간, 연산 43만2천t의 닛폰 NCC공장은 8월25일부터 한달간 정기보수에 들어갈예정이다. 또 연간 50만t 생산 규모인 대만의 석유화학총공사(CPC)도 정기보수로 8월 초에나 정상 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아시아 지역 10여개 NCC공장이 기초유분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기초유분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중국은 고유가로 인한 채산성 악화로 석유화학업체들이 가동 중단에 들어가면서 기초유분 수입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여 가격 강세는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한국 업체들도 고유가 때문에 가격인상 요인이 생겼지만 플라스틱, 고무, 섬유등을 생산하는 업체들의 내수 불황이 장기화되고 있어 가격 인상을 쉽게 결정하지못하고 있다. 국내 업체들은 이같은 상황이 계속될 경우 기초유분 내수 물량을 수출로 돌릴수 밖에 없어 자칫하면 기초유분의 내수 품귀 현상까지 우려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초유분 수급 차질은 최대 생산국인 미국의 가동율이 2000년대에 들어서 60∼70%로 떨어지면서 비롯됐다"며 "미국의 석유화학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다면 수급 불균형이 장기화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최태용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