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증권사가 단타매매 앞장… 회전율 최고

증시 안전판 기능 도외시 비판

지난해 주식시장 투자주체들 가운데 증권사가 가장 빈번히 보유주식을 매매한 것으로 드러나 본연의 시장 안전판 기능을 도외시하고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25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작년 한해동안 유가증권시장의 시가총액 회전율은 평균 120.03%로 집계됐다. 시가총액 회전율이란 연간 총 거래대금을 평균 시가총액으로 나눈 수치로, 시장전체의 매매거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투자 3주체별로는 개인이 396.35%로 가장 높았고 이어 기관(보유계정 기준) 93.58%, 외국인 62.6%의 순서다. 개인이 작년 전체로 평균 보유액의 4배에 가까운 규모로 주식을 사고 판 반면기관과 외국인은 1년간의 주식 거래대금이 보유액에도 못미쳤다는 의미다. 그러나 기관별 시가총액 회전율을 따져보면 사정이 달라진다. 증권사의 경우 시가총액 회전율이 448.67%로, 다른 기관의 회전율을 크게 상회함은 물론 개인보다도 더 잦은 매매를 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지난해 평균 629.61%의 시가총액 회전율을 나타낸 코스닥시장에서의 증권사 시가총액 회전율은 993.02%로, 보유액의 10배에 이르는 규모로 주식을 사고 판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시장의 `주역'으로 알려진 개인의 시가총액 회전율은 965.36%로, 증권사 수준에 못미쳤다. 거래소 관계자는 "증권사들은 브로커리지(주식중개)를 통해 전체 수입의 60% 가량을 충당하고 있다"면서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위해 시장의 안전판 역할을 해야 할증권사가 잦은 매매로 오히려 시장의 불안정성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증권사들이 데이트레이드(당일매매)를 하는 사례도 일부 발견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