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가구당 월 45만원 여가 지출

레저硏 작년기준 분석우리 국민이 지난 한해 여가활동으로 지출한 돈은 총 82조원으로 경상 국내총생산 (GDP)의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여가시간이 하루에 10분씩 늘어날 경우 관련 지출액은 연간 1조7,000억원씩 늘어나 주5일 근무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될 경우 관광 부문의 파급효과가 엄청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소장 서천범, www.kolec.co.kr)는 2일 '여가시간 관련 시장규모 '라는 자료를 통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국민의 여가지출액은 82조6,504억원으로 90년의 17조3,459억원에 비해 4.8배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경상 GDP 대비 여가지출 비중도 90년 9.7%에서 지난해 15.2%로 크게 높아졌다. 가구당 월평균 여가지출액은 90년 12만9,630원에서 지난해 45만7,410원으로 3.5배 증가했고 가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여가지출 비중도 90년 18.9%에서 지난해 26%로 높아졌다. 여가지출액은 가계소비지출 항목 가운데 일반외식비와 교양오락비ㆍ개인교통비ㆍ통신비ㆍ회비 및 기타 교제비 등을 모두 합한 금액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이 연구소는 또 통계청의 '99년 생활시간조사보고서'에 나타난 여가시간 관련 지출비용(10분당 9,635원)을 근거로 주5일 근무제가 도입돼 하루 여가시간이 10분씩 증가한다고 가정할 경우 여가지출액은 연간 1조7,330억원씩 늘어나 경상 GDP를 0.36%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분석했다. 서천범 소장은 "주5일 근무제가 금융권에 이어 정부, 공공기관, 1,000명 이상 대기업 등으로 확산될 경우 레저ㆍ외식ㆍ여행업계 등 관련 산업이 호황을 누리게 될 것이며, 특히 여가 관련 지출액 가운데 교양오락비의 비중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문성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