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민주신당, 金홍보처장 해임 검토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는 30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긴급 운영위원회(편집·보도국장회의)를 열어 최근 빚어지고 있는 정부의 언론통제 정책에 대한 대책을 논의한 뒤 노무현 정부 언론정책 백지화를 골자로 한 결의문을 채택했다. 참석자들이 결의문 채택 후 박수를 치고 있다.

열린우리당을 사실상 리모델링한 민주신당이 정부의 기자실ㆍ브리핑룸 통폐합 방침을 둘러싸고 언론계와 마찰을 빚고 있는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의 해임을 검토하고 있다. 또 정부의 일방적인 기자실ㆍ브리핑룸 통폐합 조치에 대해 각 부처 출입기자들이 연일 반대 성명을 내놓고 정부 조치의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전국의 신문ㆍ방송사 편집ㆍ보도국장들도 노무현 정권의 이른바 ‘취재 지원 선진화 방안’을 전면 철회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김효석 민주신당 원내대표는 30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언론과 정부 간 대화 결과를 지켜본 뒤 국정홍보처장의 해임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참여정부의 여당으로서 그동안 한나라당 등 야당의 국정홍보처 폐지 및 홍보처장 해임 주장에 대해 반대해왔다. 유시민 민주신당 예비경선 후보도 “국정홍보처의 취재 선진화 방안이 다 잘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내가 대통령이라면 이 일을 안 했을 것”이라는 뜻을 밝혔다. 이처럼 현재 여당이나 다름 없는 민주신당에서조차 기자실ㆍ브리핑룸 통폐합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정부의 ‘취재 선진화 방안’에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은 12월 대통령 선거와 내년 총선을 겨냥, 여론악화를 우려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총리실ㆍ통일부ㆍ교육부ㆍ행정자치부 출입기자단은 이날 ▲일방적인 ‘취재 지원 선진화 방안’ 백지화 ▲언론과 국민이 참여하는 진정한 선진화 방안 논의 ▲언론의 소명과 역할을 폄하 및 매도하는 행위 즉각 중단 등을 요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들 기자단은 성명에서 “이번 방안은 언론의 자유를 봉쇄하기 위한 의도된 조치로 판단한다”며 “200조원이 넘는 예산과 100만명에 육박하는 인원으로 채워진 거대 조직을 감시하는 것은 지금도 버거운 일”이라고 밝혔다. 한국신문방송인협회도 이날 ‘긴급 운영위원회’를 열어 최근 벌어지고 있는 참여정부의 언론 통제정책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고 취재봉쇄를 전면 철회하라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날 회의에는 전국의 신문ㆍ방송ㆍ통신 등 50여개사 편집ㆍ보도국장 전원이 직접 또는 위임하는 형식으로 참석했다. 기획예산처와 국방부 출입기자들은 전날 취재 통제를 반대하는 성명을 잇달아 발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