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류없는 무역' 시대 온다

'사이버 무역망' 내년 하반기 서비스내년 하반기부터 컴퓨터 인터넷망을 통해 53단계에 이르는 국내 무역절차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사이버 무역망이 서비스에 들어간다. 또 2003년까지 한ㆍ일간 전자무역 네크워크가 구축돼 양국간 무역거래를 인터넷에서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산업자원부는 현재 케이블망으로 연결된 무역자동화시스템을 인터넷 환경으로 전면 개편키로 하는 내용의 '전자무역(e-Trade) 종합대책'을 마련, 시행키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산자부 홍석우 무역정책과장은 "지난 90년부터 추진해온 무역자동화시스템은 부가가치통신망(VAN)을 기반으로 해 관련 소프트웨어를 구입해야 하고 각 기업마다 상이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바람에 중복투자가 발생했다 "며 "연내로 현재의 무역자동화시스템을 인터넷기반으로 교체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수출입승인과 원산지증명서 발급ㆍ신용장개설ㆍ구매확인서 등 11개 상역ㆍ외환 업무는 연말까지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무역망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현재의 상역ㆍ외환업무 자동화 시스템은 이용률은 이용료 및 초기투자비용 부담등으로 30% 수준에 그쳤다. 산자부는 또 내년중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으로 하여금 인터넷 기반의 수출입물류망을 구축토록 해 기업마다 상이한 물류정보망구축에 따른 중복투자를 사전에 방지키로 했다. 이와함께 2003년까지 한국과 일본간의 교역을 인터넷에서 전자상거래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ㆍ일전자무역네크워크를 구축키로 하는 한편 사이버무역사 자격증을 국가 공인화하기로 했다. 권구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