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때아닌 '한ㆍ일ㆍ중' 논란… 中에 대한 불편한 심경 반영?

“통상명칭은 ‘한ㆍ중ㆍ일’이라 할 수 있지만, 공식명칭은 ‘한ㆍ일ㆍ중’입니다.” 외교부 당국자의 말이다. 외교부와 외교부 기자들 사이에서 오는 15일부터 이틀간 경주에서 열리는 제4차 한ㆍ중ㆍ일 외교장관 회의 명칭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당국자는 10일 “통상 호칭은 각국이 임의대로 부르더라도 대변인 발표나 공식 보도자료에서는 공식 명칭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상황에 따라서는 불필요한 오해를 야기할 소지를 배제할 수는 없다”고 했다. 논란은 김영선 외교부 대변인의 지난 6일 공식 회의 발표에서부터 비롯됐다. 당시 김 대변인은 회의 명칭과 관련해 그 동안 언론에서 통상적으로 써 오던 ‘한ㆍ중ㆍ일’이라는 표현 대신 ‘한ㆍ일ㆍ중’이라고 명시했다. 김 대변인은 그 이유로 “장관회의 표기는 관행에 따라 처리하는 데 의장국인 한국, 차기 의장국인 일본, 차차기 의장국인 중국 순으로 표기하는 것이 관행”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같은 날 장위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 회의를 두고 ‘제4회 중ㆍ일ㆍ한 외교장관 회의’라고 명시했다. 김 대변인 설명에 따르면 장위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한ㆍ일ㆍ중’이라고 해야 하는데 그렇게 표현하지 않고 자국의 통상 명칭을 사용한 것이다. 특히 장위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해 9월말 열린 제3차 회의에 대해서도 ‘제3회 중ㆍ일ㆍ한’이라고 호칭했다. 일본 역시 6일 외교부 홈페이지에 게시한 자료에서 이번 회의를 ‘일ㆍ중ㆍ한 외상회의’라고 했다. 중국과 일본 모두 한ㆍ중ㆍ일 외교장관 회의에 대한 자신들의 통상 호칭을 공식 채널에서 그대로 사용한 셈이다. 그럼에도 정부는 이번 회의를 ‘한ㆍ중ㆍ일’이 아닌 ‘한ㆍ일ㆍ중’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을 계기로 중국에 대한 정부의 불편한 심경을 간접적으로 드러낸 것이 아니냐는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