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우체국도 육아보육시설을

“샤오호앙띠(小皇帝)를 어찌하오리까?” 이는 지난 70년대 말부터 시행된 중국의 ‘한 아이’ 정책으로 빚어진 사회 병리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4명의 조부모와 2명의 부모가 한 아이에게 매달려 과보호와 맹목적 사랑으로 응석, 고집불통, 자립심 부족 등 여러 부작용을 낳는 것으로 평가됐다. 최근 우리나라는 저(低)출산에 따른 인구감소로 국가 장래에 대한 걱정이 사회적 화두(話頭)로 부상했다. 출산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평균치인 1.6명보다 적은 1.16명에 그쳐 지난 40년간 산아제한으로 떠들썩하던 우리 사회가 이제는 세계 최저 출산국가로서의 위기를 맞게 된 것이다. 지난해 11월 한국가정법률상담소가 서울시민 412명을 대상으로 저출산에 대한 의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45.2%가 ‘자녀양육 부담’이라고 대답한 것은 육아문제가 어느 틈에 가정과 국가의 중심에 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산ㆍ육아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직장을 포기하고 보육시설 부족으로 인한 직장 여성들의 출산기피 현상은 낮은 출산율로 연결된다. 이런 의미에서 전체 4만5,000여직원 중 16.5%가 여성공무원으로 구성된 우정사업본부는 직장 여성들의 육아문제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지난해부터 우체국을 활용한 직장 보육시설을 서울ㆍ부산ㆍ경기 지역 등 4개소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우체국 보육시설은 부모들의 양육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ㆍ공립 수준의 보육료를 채택해 민간 보육시설보다 20~30% 저렴한데다 전문 보육기관에 운영을 맡겨 올바른 인성 및 생활습관, 창의력 등을 키워줄 수 있다. 이밖에 IT 부처 위상에 걸맞게 어린이집 홈페이지를 개설해 각종 육아정보를 제공하고 직장이나 가정에서 인터넷으로 자녀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웹캠(Web-Cam) 서비스를 도입해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다른 직장 보육시설과 달리 지역주민에게도 개방해 지역의 종합생활 봉사창구의 취지를 살려 민ㆍ관 유대도 더욱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별회계로 운영하는 정부 기업으로서 보조금 없이 육아시설을 확보ㆍ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앞으로도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국가기관이나 공공기관의 유휴시설을 직장 보육시설로 확대ㆍ운영해보자. 보육과 육아가 교육의 뿌리라는 믿음이 사회 전반적으로 정착되면 국가의 경쟁력도 키우고 양질의 보육과 여성인력 활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지 않을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