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안철수 "의원 수 100명 줄이겠다"

朴과 차별·文과 단일화 기선잡기 나서

"월병 맛있네",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23일 인천광역시 중구 북성동 차이나타운을 방문해 월병가게에 들러 주인이 추천한 월병을 맛보고 있다. 류효진기자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국회의원 수와 정당 국고보조금 축소, 중앙당 폐지 등을 제시하며 정치개혁 논의의 고삐를 당겼다. 이와 함께 '낡은 정치'와 차별화된 '미래 정치'를 대안으로 안 후보를 제시하며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와의 차별화를 시도했다.

이는 또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 논의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기선제압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안 후보는 23일 오후 인천 인하대 초청강연에서 "특권을 내려놓아도 법이 부여한 권한만으로 충분히 개혁이 이뤄질 수 있다"며 이 같은 내용의 정치권 3대 특권 포기 방안을 내놓았다. 안 후보는 "국회가 민생법률을 만들지 못하는 것은 의원 수가 모자란 것이 아니라 책임감의 문제"라고 지적하며 의원 수 축소로 효율성을 높이되 사회의 다양한 요구 수렴과 소외계층 권리 보호를 위해 비례대표 비율은 확대할 것을 주장했다.


안 후보는 또 정당 국고보조금 제도와 중앙당 시스템이 5ㆍ16 쿠데타로 도입된 '낡은 체제'라고 비판하며 각각 축소와 폐지를 촉구했다. 안 후보는 "정당이 당비로 유지돼야 하는데 보조금으로 유지되면서 비대화ㆍ관료화ㆍ권력화됐다"며 "정치권이 스스로 액수를 줄이고 그만큼 시급한 민생에 쓰거나 정당의 정책개발비로 쓰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당의 중앙당을 폐지 또는 축소해야 소위 패거리 정치, 계파 정치가 사라질 수 있다"며 원내 정당화를 촉구했다.

관련기사



안 후보는 이 같은 특권 포기 방안에 대해 "여야가 합의하면 당장 시행할 수 있는 일"이라며 "우리 정치의 어려운 역사 속에서 만들어진 군사독재의 유산을 청산하고 정치인이 밥값을 하도록 낡은 체제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가 '낡은 정치'와 차별화된 '미래 정치'를 내세우는 것은 이번 대선을 박 후보와의 양자 대결 구도로 가기 위한 포석으로 정치권에서는 해석하고 있다. 특히 기존 정당정치와의 분명한 선긋기를 통해 문 후보와의 단일화 논의에서도 우위를 점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안 후보 측 김성식 공동선거대책본부장은 이날 서울 공평동 선거 캠프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번 대선은 '새로운 미래냐, 과거냐'라는 구도를 반영할 때 정권교체의 가능성도 커진다"며 "국민은 안철수 정부의 탄생을 통해 정치교체, 정권교체, 새로운 미래를 함께 이뤄나가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김종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