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위기의 내수면 어업 되살리자" 5년간 1,000억 투입한다

이력추적제 확대·친환경 인증제 도입도

민물양식장 등 위기에 처한 내수면 어업의 재생을 위해 내년부터 5년간 1,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심호진 해양수산부 차관보는 29일 정례 브리핑에서 “말라카이트 그린 파동 등에 따른 경영악화로 위기에 처한 내수면 어업이 획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내년부터 5년간 정부예산 243억원과 수산발전기금 760억원 등 1,003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내수면발전 종합대책을 마련, 본격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양부는 내수면 수산식품 안정성 강화를 위해 위해요소중점관리제(HACCP)와 이력추적제를 올해 뱀장어에 도입한 데 이어 내년에는 대상을 송어 등 30개로 확대하고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는 수산물을 정부가 인증하는 친환경 수산물 인증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해양부는 또 양식장 현대화 사업을 위한 수산발전기금 융자를 올해 35억원에서 내년 60억원, 2008년 100억원 수준으로 대폭 확대한다. 또 송어 훈제가공시설 지원으로 내년에 14억원, 관상어 양식품종 개발에 2008년 이후 5,000만원을 각각 지원하는 등 친환경 고효율 양식시스템 개발을 위해 내년부터 5년간 7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내수면 생태계 보전ㆍ관리 강화를 위해서는 어도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하고 내수면 생태계 보호를 위해 감돌고기 등 18종의 멸종위기종을 대상으로 종보전ㆍ복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블루길ㆍ배스 등 외래어종에 대해서는 산업용 또는 식용으로 이용하거나 구제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댐ㆍ호수 안에서 어류의 산란ㆍ서식지를 훼손하고 있는 폐어구ㆍ어망을 수거하는 사업도 지자체와 협의해 추진할 예정이다. 해양부는 아울러 내수면 어업계에 자율관리어업 공동체를 현재 9곳에서 2010년까지 30곳으로 확대하고, 갈수록 떨어지는 연어의 회귀율을 높이기 위해 연어회귀율이 높은 지역에 방류사업을 집중하고 고급어종인 시마연어의 방류량도 늘릴 계획이다. 해양부는 말라카이트 그린 등 위해물질 파동이 재발하지 않도록 내수면 양식장 지도ㆍ관리 업무에 대한 업무분담체계를 정비하고 각 지역 내수면연구기관에서 양식장 현장을 방문해 수산용약품 안전사용방법 등 양식장 기술지도를 강화하는 한편 약품사용ㆍ위생관리 기준을 지자체에 내려보냈다. 해양부는 내수면 어업의 유통구조 개선과 소비활성화, 내수면 레저ㆍ관광 활성화에도 힘쓸 예정이다.
●내수면발전 종합대책 주요 내용

*이력추적제 등 30개어종 확대 *항생제 무사용 친환경 인증제 도입 *양식장 현대화 융자 대폭 확대 *친환경 고효율 양식시스템 개발 *멸종위기 18종 종보존,복원사업 추진 *왜래어종 산업용 식용 이용 방안 마련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